북, 6·15선언 기념 대화공세 지속

0:00 / 0:00

앵커: 북측이 6.15 선언 16주년을 맞아 대남 대화공세를 지속했습니다. 그러나 남측은 북한의 핵 포기가 선행돼야 남북관계가 실질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는 입장을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의 통일부는 6.15선언을 포함해 "남북 간 모든 합의를 존중"한다면서 "그 취지와 정신에 맞게" 합의가 이행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15일 밝혔습니다.

그러나 조건을 하나 붙였습니다.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박수진 통일부 홍보담당관: 북한은 우리의 지원과 협력에도 불구하고 핵개발을 고집하고 도발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북한의 이러한 행태는 남북관계는 물론 한반도 평화에 엄중한 장애를 조성하는 것으로 남북 간 합의의 기본 정신을 파기하는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북한은 "무모한 도발위협을 중단하고 핵을 포기하고 변화를 선택함으로써 남북관계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한반도 평화통일을 진전시키는 길로 나와야 할 것"이라고 박 홍보담당관은 말했습니다.

남측의 이같은 반응은 북한이 6.15선언 16주년을 맞아 남측을 상대로 대화공세를 지속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북측 로동신문은 15일 1면 사설과 논평 등에서 6.15선언을 비롯한 공동 합의를 존중할 것을 남측에 요구했습니다. 북측 선전매체인 '우리민족끼리'와 '조선의 오늘'도 이날 6.15선언과 관련해 열 건이 넘는 기사를 쏟아내고 남측의 태도 변화를 촉구했습니다.

남북은 지난 2000년 6월 15일 평양에서 남북 분단 이후 첫 정상회담을 갖고 교류와 협력 강화를 핵심 내용으로 하는 5개 조항의 공동선언을 발표했습니다.

이후 개성공단 운영과 남북 이산가족 상봉 등 굵직한 교류협력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됐습니다. 하지만 북한의 핵개발이 지속되면서 남북관계는 교착 국면에 들어섰고, 2016년 1월 6일 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남한이 2월 10일 개성공단 가동을 전면 중단하면서 현재 남북관계는 2000년 6월 이래 최악의 상태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