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사드 관련 국민 단합 호소

0:00 / 0:00

앵커: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이 사드 배치를 둘러싼 불필요한 논쟁을 멈춰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을 앞두고 국론 분열을 막기 위한 시도로 풀이됐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청와대에서 국가안전보장회의를 주재하고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의 경북 성주 배치가 최적의 결정이었다고 강조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북한의 탄도미사일 위협에 대해 중부 이남 지역 대부분을 방어할 수 있습니다. 높은 고지에 있어서 레이더 전자파의 영향도 없다는 평가가 나왔습니다. 오히려 우려한다는 것이 이상할 정도로 우려할 필요가 없는 안전한 지역입니다.

이날 박 대통령의 발언은 ASEM(아시아•유럽 정상회의) 참석차 출국을 앞두고 성주 현지 주민과 지방의회 등의 사드 레이더 유해 가능성 등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켜 국론을 결집하기 위한 시도로 풀이됐습니다.

박 대통령은 사드 배치 과정이 불투명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국민의 양해를 구했습니다.

"워낙 위중한 국가 안위와 국민 안전이 달린 문제라서 공개적으로 논의를 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며 "다양한 선정 지역을 가지고 논의를 광범위하게 하지 못한 것은 위중한 사안이라 어쩔 수 없었다는 것을 이해해 주시기 바란다"는 겁니다.

박 대통령은 "오늘날 대한민국의 안보는 커다란 도전에 직면해 있다"며 "이해 당사자 간의 충돌과 반목으로 정쟁이 나서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잃어버린다면 더 이상 대한민국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고도 말했습니다.

중국 측의 반발과 이로 인한 한중 경제교류 악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박근혜 대통령은 직접적인 언급은 삼가면서도 국가 안보를 위해 사드 배치가 꼭 필요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이 현실화돼있는 상황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보다 더 중요한 가치는 없다는 판단 하에 한미 동맹의 미사일 방어 능력을 시급히 강화해야 한다는 절박감에서 비롯된" 결단이었다는 겁니다.

중국 측의 반발을 무마하기 위한 남측 정부 차원의 공개된 행보는 당분간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외교부 대변인은 박 대통령의 ASEM 회의 참석을 수행하는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중국 측과 별도의 접촉을 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현재 예정하고 있는 외교장관 차원의 별도 회담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ASEM에 참석하는 리커창 중국 총리와 박 대통령이 따로 회동하는 일정도 잡히지 않은 상태입니다.

지난 11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박 대통령은 사드 배치가 "제3국을 겨냥하거나 제3국의 안보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다"며 중국과 러시아의 반발을 고려한 발언을 한 바 있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후 ASEM 정상회의가 열리는 몽골 울란바토르로 출국했습니다. 내일부터 이틀간의 ASEM 일정이 끝난 뒤 박 대통령은 몽골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의 협력 분야 다각화와 북핵 문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청와대는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