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 일각, 북한 사드주장과 맥락 같이해”

0:00 / 0:00

앵커: 남한의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정치권 일부가 사드 배치 계획과 관련해 북한의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며 비판했습니다. 이날 야당 의원 6명은 사드 문제를 놓고 중국측과 의견을 교환하겠다며 베이징을 찾았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주한미군 배치 계획에 대한 남측 야당과 중국 정부의 반발에 직면한 박근혜 정부가 정면 돌파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청와대에서 8일 수석 비서관 회의를 주재한 박 대통령은 "최근 정치권 일부에서 사드 배치로 북한이 추가 도발을 해도 할 말이 없게 됐다는 북한의 주장과 맥락을 같이하는 황당한 주장을 공개적으로 한다"며 야당을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대통령은 "국민을 지키기 위해서는 어떤 비난도 달게 받을 각오가 돼 있다"고 말해 앞으로도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한 입장 변화는 없을 것임을 강조했습니다.

이날 박 대통령의 발언은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의 초선 의원 6명이 사드 문제를 중국 측과 논의하겠다며 베이징 방문 일정을 시작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정부에 반대한다고 하더라도 국가 안보와 관련한 문제에 대해서는 내부 분열을 가중시키지 않고, 초당적으로 협력하는 것이 국민을 대신해서 권한을 위임받은 정치의 기본적인 책무라고 생각합니다.

중국 측을 겨냥한 발언도 있었습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사드 배치와 관련해 사실과 다른 이야기들이 국내외적으로 많이 나오고 있어서 우려스럽다"며 중국측 관영매체의 보도를 간접적으로 비판했습니다.

하루 전에도 청와대는 김성우 홍보수석의 입장문을 통해 중국측 관영매체의 사드 관련 보도를 직접 비판하고 야당 의원들이 중국 방문 계획을 재검토할 것을 촉구한 바 있습니다.

김 수석은 "최근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등 지속적인 도발에 대해 중국 관영매체에서 사드 배치 결정이 이러한 도발의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본말이 전도됐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수석은 사드 배치를 결정한 이유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 때문이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중국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을 깨고 있는 북한에 대해서 보다 강력한 문제 제기를 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청와대가 중국의 사드와 관련한 비판을 정면 반박한 것은 김 수석의 발언이 처음이었습니다.

중국 측은 사드가 주한미군에 배치되면 동북아시아의 전략적 균형이 깨져 중국의 안보가 위협받을 수 있다며 이를 반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8일 중국을 방문한 김영호 등 6명의 남측 야당 의원들은 사흘간 일정으로 베이징대 교수 좌담회, 교민 간담회, 베이징 주재 남한 특파원 오찬, 그리고 중국 공산당 혁명건설촉진회 리홍린 부장이 주최하는 만찬 등에 참석할 예정입니다.

김영호 의원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번 방중 목적은 북핵 문제에 관한 한중 공조 방안을 모색하고 사드 배치 결정과 관련해 반한 감정을 고조시키는 중국 측 매체에 대한 우려를 민간 차원에서 전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이들의 중국 방문이 남한 내 사드 배치 반대 분위기를 부각하고 있는 중국 측 언론과 정치권에 이용당할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야권 내에서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