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시리아 정권이 자국민에게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미국 행정부의 발표와 관련해 한국 정부도 시리아 정권을 비난하면서 화학무기의 사용은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 정부가 북한의 화학무기를 의식하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자국민에게 화학무기를 사용했다는 미국 정부의 발표와 관련해 "극악한 범죄 행위를 강력 규탄하며 화학무기 사용에 관련된 자들은 반드시 응분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난 토요일 밝혔습니다.
시리아 정부군은 지난달 21일 반군이 점령한 지역을 화학무기로 공격해 천여명의 민간인 사상자가 발생했다고 외신들은 보도했습니다.
지난달 26일 유엔 조사단이 시리아 현지에서 화학무기 사용 문제와 관련한 현장 조사를 시작한 때부터 한국 정부는 "철저하고 신속하게" 사실관계가 규명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한혜진 외교부 부대변인: 우리 정부는 화학무기의 사용은 국제규범에 대한 위반으로서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다는 입장이며, 시리아 화학무기 사용 문제를 포함한 시리아 사태 해결을 위한 유엔 및 미국을 비롯한 주요 관련 국가들의 노력을 평가한다.
한국 정부가 이처럼 단호한 입장을 보인 이유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북한의 비대칭 전력을 의식한 게 아니겠느냐"고 추정합니다.
김용현 동국대 교수: 시리아 문제에 대한 한국 당국자들의 발언은 결국 북한의 핵문제나 화학 무기 문제를 겨냥한 측면이 강하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한국의 김관진 국방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브루나이에서 열린 한미 국방장관 회담 뒤 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시리아의 화학무기 공격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말한 바 있습니다. 북한도 시리아처럼 "잘못된 판단을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겁니다.
미국의 존 케리 국방장관도 현지시각으로 1일 시리아 사태를 내버려두면 화학 무기를 사용할 가능성이 있는 북한과 이란 등에 좋지 않은 선례가 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정부는 현재 시리아에 대한 군사적 조치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북한 당국은 미국의 이 같은 움직임이 보도된 지 한 주 가량이 지났지만 현재까지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남한 국방부의 2012년판 국방백서에 따르면, 북한은 1961년 12월 김일성의 '화학화 선언' 이후 독자적인 정책을 수립하고 화학무기 개발을 시작했으며, 1980년대부터 화학무기를 생산하기 시작해 약 2,500~5,000톤의 각종 화학무기를 전국적으로 분산된 시설에 저장하고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