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국방부는 북측이 군사분계선 인근 남측 초소를 향해 "조준사격"을 가했다며 이는 "도발행위"라고 규정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 국방부는 북측이 경기도 파주 지역 비무장지대(DMZ) 내 군사분계선(MDL)에서 지난 19일 남측 초소(GP)를 향해 "조준사격"을 했다고 20일 밝혔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19일 남측 군이 군사분계선으로 접근한 북한군을 향해 경고사격할 때는 탄환이 "남측 지역에 떨어지도록 했다"면서, "그러나 북한군은 남측 초소에 대응사격을 가했으며, 초소까지 총탄이 날아온 것은 (북한군이) 조준사격을 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김 대변인은 또 "이는 북한군의 도발적 행위"라고 덧붙였습니다. 국방부는 북측이 왜 "도발적"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분석도 내놨습니다. "군사분계선 상의 푯말이나 표시물의 번호나 위치를 확인하는 정찰활동이거나 민간단체의 전단 살포 등에 대비해 남측에 도발의 책임을 전가하려는 명분쌓기용일 가능성이 있다"는 겁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과거와 좀 달라진 것은 우리가 경고사격을 하면 북한군은 대개 그 지역을 벗어났는데, 최근에는 우리가 대응사격을 하면 북한도 대응사격을 해서, 우리 대응사격 하는 데 따른 공세적 대응을 위한 준비의 일환 아닌가, 그런 분석을 해봅니다.
북측 병사가 군사분계선에 접근해 남측 군이 경고사격하는 일은 "올해 들어 수차례 있었다"고 남측 합동참모본부의 한 관계자는 말했습니다. 최근 사례로 지난 18일 강원도 철원 비무장지대에서 유사한 사건이 발생했지만, 총격전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습니다. 당시 북한군 10여명은 남측의 경고사격을 받고 그냥 돌아갔습니다.
남북 간에 총격전이 발생한 것은 지난 10일 남측 민간단체가 북측으로 날린 대북전단으로 인해 양측이 고사총과 기관총으로 서로에게 사격한 이후 9일 만이었습니다.
남측 국방부는 "전 전선에서 북한군의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추가 도발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면서 "북한은 군사적 긴장을 조성하는 무모한 군사적 도발과 정전협정 위반 행위를 즉각 중단할 것을 엄중하게 경고한다"고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