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남한의 박근혜 정부 임기 내 남북 정상회담이 개최될 가능성과 관련해 남한 내 통일•외교•안보 분야 전문가들 대부분은 부정적 의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만약 정상회담을 하게 된다면 내년 상반기에는 해야 한다는 답변이 많았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 내 통일•외교•안보 분야 전문가의 90.3%가 남북 정상회담 개최가 '필요하다'고 밝혔고, '필요하지 않다'고 답변한 사람은 9.7%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남한의 현대경제연구원이 11월 3일부터 9일간 전문가 144명을 설문조사한 결과입니다.
그러나 박근혜 정부 임기 중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될 가능성은 낮게 평가됐습니다. 45.1%는 '다소 낮다', 21.5%는 '매우 낮다'고 답했습니다. 특히 7.6%는 '불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최근 이산가족 상봉 등으로 남북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진 것은 사실"이라며 "그럼에도 극적인 관계 개선을 위한 계기를 마련하긴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이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주목할 점은 정상회담의 개최 가능성에 대한 긍정적 답변도 '매우 높은 편' 4.2%, '다소 높은 편' 21.5%가 나왔으며, "긍정적 응답자 가운데 예상 시기를 2016년 상반기로 지목한 전문가가 40%였다는 점"이라고 홍 연구위원은 지적했습니다.
홍순직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2007년 10.4 정상선언이 다음 정부로 넘어가면서 합의 사항이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데 대한 학습효과가 반영되었기 때문에 늦어도 내년 상반기에는 개최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남북은 2007년 10월 정상회담을 갖고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10.4 선언을 발표했지만, 그 다음해 남한에서 정권이 바뀌면서 후속조치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 응답자의 대다수는 이산가족 추가 상봉이나 금강산 관광 재개 등 남북관계 개선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이산가족 상봉에 대해서는 92.4%가 '정치적 상황과 무관하게 재개해야 한다'고 답했고, 금강산 관광에 대해서는 42.4%가 '우선 재개한 후에 해결 과제를 추후 보완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