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광복 70주년, 분단 70주년을 앞두고, 남측이 북측에 대화를 제의했습니다. '상호 관심사'를 논의해보자는 겁니다. 이번에는 '통일준비위원회'가 대화를 제안했다는 점이 눈에 띕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측의 민관 협력기구인 통일준비위원회가 "내년 1월 중에 남북 간 상호 관심사에 대한 대화를 갖자"고 29일 북측에 공식 제의했습니다.
통준위는 남북대화가 성사될 경우 논의하길 희망하는 의제로 이산가족 상봉 이외의 사안은 언급하지 않은 채 '상호 관심사'라고만 표현했습니다. 남측의 대북제재 해제 문제도 북측이 원하면 의제로 삼을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합니다.
대화 제안 배경으로 통준위는 남북 간 민간교류 확대와 광복 70주년 기념 공동사업, 그리고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 등 그간 기획한 사업들이 실질적으로 이행되기 위해서는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류길재 통일부 장관: 서울이나 평양, 또는 기타 남북이 상호 합의한 장소에서 북측과 만나기를 바랍니다. 우리의 제안에 북측이 적극 호응해 나오기를 기대합니다.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전통문은 29일 오전 류길재 통일부 장관 명의로 김양건 북한 로동당 통일전선부장 앞으로 발송됐고, 북측은 이를 수령했습니다.
류 장관은 "북한이 통준위에 대해 여러 가지 비판적인 의견을 보인 점을 알고 있다"면서도 "우리의 생각을 북측에 충분히 설명해서 오해가 있다면 오해를 씻고 남북이 같이 공동으로 노력해서 뭔가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그런 것들은 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북측은 박근혜 대통령이 '통일 대박' 발언에 이어 지난 7월 통준위를 출범하자, 이를 '흡수통일' 시도라고 주장하며 반발해왔습니다.
대통령 직속 기구로 발족한 통준위는 통일 공감대 확산과 관련 연구 과제 선정, 부처간 협업 지원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류길재 통일부 장관이 정부 측 부위원장을, 정종욱 전 주중대사가 민간 측 부위원장을 맡고 있습니다.
북측이 대화에 호응하면 류길재 장관이 수석대표로, 정종욱 부위원장은 대표단의 일원으로 참석하게 됩니다. 회담이 성사되면 장관급 회담이 재개되는 의미가 있습니다. 남북 장관급회담은 2007년 5월 서울에서 열린 것이 마지막입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