틸러슨 “대북제재, 중국 이행 강제해야”

0:00 / 0:00

앵커: 도널드 트럼프 차기 미국 행정부의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 내정자는 중국이 대북제재에 제대로 나서지 않을 경우 이를 강제할 방안을 고려할 방침을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틸러슨 국무장관 내정자는 11일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인준청문회에 출석해 핵과 미사일 개발에 매진하고 있는 북한의 심각한 위협을 지적했습니다.

틸러슨 내정자: 이란과 북한 같은 적국은 국제규범을 무시하면서 전 세계에 중대한 위협이 되고 있습니다.

틸러슨 국무장관 내정자는 이러한 북한의 위협에도 중국이 대북제재에 제대로 나서지 않고 있다고 비난했습니다.

틸러슨 내정자: 북한을 개혁하기 위해 압력을 가하고 있다는 중국의 공허한 약속(empty promise)을 더는 용인할 수 없습니다.

틸러슨 내정자는 만일 중국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제재 결의를 제대로 이행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이를 강제할 방안을 고려해야만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대외무역 중 90%를 차지하는 중국에 대해 이른바 '세컨더리 보이콧', 즉 북한과 거래하는 중국 기업이나 기관에 대한 미국의 제재도 고려할 수 있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틸러슨 내정자: 중국의 대북압박 수준이 미국의 바람에 미치지 못했다는 것을 중국에 이해시키기 위해서는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틸러슨 내정자는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한미일 3국 동맹의 중요성을 거론하면서 트럼프 행정부에서 한미동맹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틸러슨 내정자는 최근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가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의 신년사와 관련해 발언한 내용에 대해 다소 미온적인 해석을 내놨습니다.

김 위원장이 대륙간탄도미사일의 시험발사 준비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다고 발언한 데 대해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가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것을 확대 해석해선 곤란하다는 것입니다.

틸러슨 내정자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자의 발언을 국제사회는 미국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완성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일종의 금지선(red line)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지적에 동의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