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의 성 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북한의 핵실험은 당연히 하면 안 되는 행위로, 이를 조건으로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하라는 북한 측 제안은 전혀 이치에 맞지 않는다고 말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국무부의 성 김 대북정책특별대표는 13일 하원 외교위원회가 개최한 설명회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최근 북한 측 제안에 대한 입장을 직접 밝혔습니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담당 차관보도 겸하고 있는 김 특별대표는 이날 미국 측 입장을 묻는 자유아시아방송(RFA)의 질문에 북한이 당연히 하면 안되는 일을 하지 않는 대가로 무엇인가 요구를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성 김 특별대표: 일상적이고 방어적 성격의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조정(adjust)하면 당연히 하면 안 되는 행위인 핵실험을 잠정 중단하겠다는 북한의 제안은 사리에 맞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이나 한국이 이러한 북한의 제안을 수락할 수 없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성 김 특별대표는 또 지난해 말 소니 영화사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배후는 북한 정부임이 틀림없다고 거듭 확인했습니다.
앞서 김 특별대표는 하원 외교위원회에 출석해서도 핵과 미사일 뿐 아니라 북한의 사이버 공격 위협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김 특별대표는 이어 북한의 어떤 위협도 방어할 수 있도록 조만간 예정된 한미 합동군사훈련을 통한 대북 억제력 강화에도 힘쓰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김 특별대표와 함께 대니얼 글레이저 재무부 테러금융담당 차관보도 이날 외교위원회에 출석해 북한의 불법행위를 근절시키기 위해 가용한 수단을 전면적으로 동원해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강화할 방침을 밝혔습니다.
한편 김 특별대표는 남북정상회담 등 남북대화와 관련해 미국은 항상 남북한 간 접촉(engagement)을 지지해왔다면서 한국 정부가 건설적인 남북대화에 나설 것을 확신한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남북한 간 대화에서도 북한 핵문제가 제외돼선 곤란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성 김 특별대표: 남북한이 다뤄야 할 사안이 물론 있겠지만 남북대화가 북한 비핵화에 대한 전반적인 노력에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성 김 특별대표는 또 이달 말 일본에서 열리는 한미일 6자회담 수석대표 협의에 참석할 예정이라면서 북한 위협에 대처하는 데 있어 한미일 3국 협력이 필수적이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