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방부의 일레인 번(Elaine Bunn) 핵, 미사일방어정책 담당 부차관보는 사드(THAAD),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국 배치 가능성과 관련해 이는 중국과 전혀 무관한 사안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일레인 번 부차관보는 7일 미국 워싱턴 DC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에서 열린 토론회에 참석해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국 배치 가능성과 관련된 중국의 우려가 부적절하다는 견해를 밝혔습니다.
이는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해 한국과 주한미군을 방어하기 위한 수단일 뿐 중국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는 것입니다.
번 부차관보: 북한에서 비롯되는 위협, 특히 북한의 스커드 C 미사일과 노동 미사일 때문에 주한미군사령부가 사드 배치를 고려하는 것입니다. 또 한국 측과 협의를 통해 한미 양국이 그 배치 여부를 결정할 문제로 중국과 관련된 사안이 아닙니다.
이날 함께 토론회에 참석한 미국 국방부 미사일 방어국의 케네스 토도로프(Kenneth Todorov) 부국장도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위협은 실제적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능력은 양적으로 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향상되고 있으며 특히 북한 정권은 최근 예고 없이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하는 등 매우 예측하기 어렵다는 게 그의 설명입니다.
토도로프 부국장은 북한과 이란의 미사일 능력이 늘어나면서 비롯되는 위협보다 한발 더 앞서 이에 대비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 국무부의 프랑크 로즈(Frank Rose) 군축, 검증, 이행담당 차관보는 이날 토론회에서 아시아 동맹국과 미국의 미사일 방어 협력을 거론하면서 한국을 일본과 호주(오스트랄리아)에 이어 세 번째로 언급했습니다.
그는 한국이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KAMD)를 개발하는 데 있어 한미 양국이 긴밀히 협의하고 있으며 최근 한국은 미국의 패트리엇(PAC-3) 미사일을 구매할 계획을 밝혔다고 간단히 설명했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