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국무, 국방장관과 함께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반도 배치 문제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한국 청와대는 사드 배치 약속을 근본적으로 바꿀 의도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달 말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한국의 문재인 정부가 사드와 관련해 미국과 중국을 동시에 만족시킬 묘안을 도출해 낼수 있을지 주목되고 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헤더 노어트 대변인은 8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한국 정부가 사드 배치를 늦추기로 한 결정에 실망했느냐는 질문에 즉답을 피했습니다.
실망했다고 표현하진 않겠지만 사드 배치 문제는 미국 정부에 대단히 중요한 사안이라는 게 그의 대답입니다.
노어트 대변인은 사드 배치가 한미 동맹 간 최고위급에서 이미 결정된 사안이란 점을 지적하면서 8일 오전 백악관에선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과 제임스 매티스 국방장관이 사드 문제를 논의했다는 사실도 공개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청와대의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9일 기자회견에 나서 한국 정부는 사드 배치 결정을 결코 가볍게 여기지 않을 것이고 미국 측과 계속 긴밀히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정의용 실장: (한국) 정부는 한미동맹 차원에서 약속한 내용을 근본적으로 바꾸려는 의도가 없습니다. 사드는 북한의 점증하는 위협으로부터 한국과 주한미군을 보호하기 위해 (배치를) 결정한 것입니다.
이런 가운데 한국의 사드 배치 지연과 관련해 미국이 일부 불쾌할 순 있지만 문재인 한국 정부의 입장을 이해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습니다.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제관계국장은 상시적인 북한 장사정포의 위협을 받고 있는 한국과 대륙간탄도미사일 위협에 직면한 미국은 북한의 위협을 동일하게 여길 수 없고 사드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입장이 다를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배치를 일정 기간 늦춰 사드 배치에 적극 반대하고 있는 중국의 체면을 살리면서도 배치 결정을 철회하지 않는 한국 측 입장을 결국 미국이 용인할 수 밖에 없을 것이란 게 그의 추정입니다.
고스 국장은 또 북한이 미사일 발사는 지속하고 있지만 추가 핵실험은 아직 하지 않고 있다면서 문재인 정부가 중국의 지속적인 대북 압박을 위해서라도 사드 배치는 당장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는 논리로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한편 미국 측은 오는 13일 토머스 섀넌 국무부 정무차관을 한국에 보내 이달 말 워싱턴에서 개최될 한미 정상회담 일정과 사드배치 문제 등 의제를 조율할 예정입니다.
또 애니타 프라이트 국무부 군축·검증·이행 담당 차관보 대행이 오는 12일부터 한국과 일본을 방문해 미국의 핵정책을 설명하고 북핵 대처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프라이트 차관보 대행은 또 환경영향평가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고 있는 사드 배치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