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과 러시아가 사드(THAAD)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한국 배치 결정에 강력히 반발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정부는 사드가 오직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순수 방어 수단이란 점을 거듭 강조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방부의 게리 로스(Gary Ross) 대변인은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한미 양국이 한국에 배치하기로 결정한 사드가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이해에 해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습니다.
사드는 역내 단거리, 중거리 탄도미사일에 대응하기 위한 순수한 방어 체계이기 때문에 중국과 러시아의 전략적 억지력을 약화시키지 않을 것이란 게 로스 대변인의 설명입니다.
(THAAD is a purely defensive system designed to counter short and medium-range regional ballistic missiles. It would not undermine China's or Russia's strategic deterrent.)
로스 대변인은 특히 한국 내 사드는 오로지 북한에만 초점이 맞춰질 것이라면서 잠재적인 북한 미사일 위협에 맞서 한미동맹의 기존 미사일 방어능력을 다층적 체제로 한층 강화시키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이 최고위급 차원에서 중국, 러시아 지도자들과 접촉을 유지하고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빈센트 브룩스(Vincent Brooks) 주한미군사령관도 8일 성명을 통해 이번 사드 배치 결정이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 때문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브룩스 사령관은 사드 배치 결정에 대해 북한의 계속된 탄도 미사일과 대량살상무기 개발은 동맹국인 한미 양국이 효과적인 다층적 미사일 방어 체계를 강화하는 현명하고 방어적 조치를 취하도록 만들었다고 설명했습니다.
(North Korea's continued development of ballistic missiles and weapons of mass destruction require the alliance to take this prudent, protective measure to bolster our layered and effective missile defense.)
미국 국무부의 존 커비 대변인도 이날 정례기자설명회에서 한미 양국의 사드 배치 결정은 북한의 미사일 위협으로 비롯됐으며 순전히 방어적 성격의 무기 체계라고 거듭 강조했습니다.
따라서 중국과 러시아 등 다른 국가들이 전혀 우려할 이유가 없다는 것입니다.
커비 대변인: 사드는 순전히, 정말 순수한 방어체계입니다. 미국은 동맹국인 한국을 방어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한미 간에 사드 배치를 논의한 것이고 이번에 배치 결정을 내린 것입니다. 사드는 중국 등 어떤 나라도 우려할 이유가 없는 방어용 무기체계입니다.
커비 대변인은 아직 사드의 구체적인 한국 내 배치 지역과 그 시기는 정해지지 않았다면서 이는 한미 군 당국이 앞으로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