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관리 “틸러슨 ‘북 자제 만족’ 발언은 양보 아니다”

0:00 / 0:00

앵커: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이 '북한의 도발 자제에 만족했다'고 한 발언은 북한 김정은 정권에 고마움을 표시한 게 아니라는 미국 관리의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복수의 미국 관리는 23일 AFP통신에 틸러슨 장관의 관련 발언은 북한의 미사일 개발을 중단시키고 한반도 비핵화 문제를 북한 측과 협상하겠다는 트럼프 행정부의 결의에 대한 양보(concession)가 아니라고 밝혔습니다.

(US officials told AFP that Tillerson was not thanking Pyongyang, nor making any concession on Washington's determination to halt Kim's missile programme and negotiate the denuclearis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대북 수사(rhetoric)의 편차가 매우 컸던 것은 사실이지만 틸러슨 장관 등 국무부 관리들은 북한 정권이 긴장을 낮추는 조치를 취할 경우 대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말해왔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보니 글레이저 선임연구원은 트럼프 행정부가 보다 명확한 대북 메시지를 보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글레이저 연구원은 이날 로이터통신에 틸러슨 장관의 이번 발언을 북한이 긍정적으로 해석할 것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은 틸러슨 장관의 발언을 북한에 대한 도전으로 여기고 추가 미사일 도발로 응답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I wonder if Kim Jong Un will interpret Tillerson's remark as a positive gesture or a challenge to which he will respond with a missile test.)

그러면서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이 이해하기 힘든 여러가지 혼란스러운 대북 메시지를 사적인 외교 통로를 통해 명확히 정리해서 전달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대화를 재개하기 위해 북한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밝히고 대화에 나올 경우 미국이 제안(offer)할 수 있는 것에 대한 설명도 필요하다는 것이 글레이저 연구원의 주장입니다.

한편 중국 외교부의 화춘잉 대변인은 23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틸러슨 장관의 발언에 대해 환영의 뜻을 내비쳤습니다.

화 대변인은 "중국은 틸러슨 장관의 태도와, 특히 그가 미북 대화 가능성을 강조했다는 점에 주목했다"며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