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리스 미 사령관 “대북 군사옵션 고려할 수 밖에 없어”

0:00 / 0:00

앵커: 미국의 해리 해리스(Harry Harris) 태평양사령관은 과거 상상하기 힘들었던 대북 군사대안을 이젠 고려할 수 밖에 없다며 대북 경고에 나섰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해리스 사령관은 17일 싱가포르에서 국제전략문제연구소(IISS)가 주최한 행사에 참석해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 증가로 이에 대응할 군사 대안이 필요한 상황이 됐다고 말했습니다.

해리스 사령관: 많은 사람들이 대북 군사대안에 대해 상상할 수 없다고 말했지만 전 그 상상할 수 없었던 것을 상상해야만 합니다. (Many people have talked about military options being unimaginable regarding North Korea…I must imagine the unimaginable.)

해리스 사령관은 또 자신이 상상할 수 없는 것은 북한의 핵탄두 장착 미사일이 미국 본토와 동맹국에 도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물론 외교적 대북 압박책이 선호되는 대안이지만 이러한 외교적 압박책은 반드시 신뢰할 만한 군사력으로 뒷받침돼야만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미국 대통령이나 국방장관이 자신에게 원하는 것은 외교적, 경제적 대안이 아닌 군사적 대안(hard power options)이며 그것을 자신은 제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리스 사령관은 북한 지도자 김정은을 비이성적인 독재자(reckless dictator)로 지칭하면서 "변덕스러운 김정은의 수중에서 결합된 핵탄두와 탄도미사일은 재앙의 지름길(recipe for disaster)"이라고 말했습니다.

또 중국은 자국의 이익을 위해서라도 더 강한 대북 압박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런 가운데 한미일 외교차관 협의회 참석차 일본과 한국을 방문한 미국 국무부의 존 설리번 부장관은 17일 미북 양자대화 가능성을 거론하며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조했습니다.

설리번 부장관: 궁극적으로 북한과 직접 대화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습니다. 다만 지금은 압박을 위주로 한 외교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Eventually, we don'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course of direct talks but our focus now is on diplomacy…)

하지만 그는 "만약 외교가 실패할 경우 우리는 동맹국들과 함께 최악의 사태에 대비해야만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미국 CNN방송은 16일 북한 관리의 말을 인용해 북한은 미국 본토 동쪽 대서양에 도달할 수 있는 대륙간탄도미사일 기술을 확보하기 전까지 미국과의 외교에 관심이 없다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