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신년사’ 발표 전에 김정은 방침 전달

0:00 / 0:00

앵커 : 북한이 지난달 30일 노동당 중앙위 비서처 비준 간부들을 상대로 전쟁준비와 관련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방침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신년사'를 통한 대남 유화적 내용들에 기대를 가지지 말라는 내부 경고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올해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의 ‘신년사’에 대해 북한의 간부 소식통들은 “맥락을 따지면 김정일 시대로 다시 돌아가겠다는 것”이라고 잘라 말했습니다. 지난 3년간에 걸친 김정은 정권의 국가운영 실험이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는 이야기입니다.

김정은 제1비서가 ‘신년사’에서 모든 경제 분야를 고루 인용한 것은 특별히 내세울만한 영역이 없기 때문이라고 소식통들은 풀이했습니다.

2일 함경북도의 한 간부 소식통은 “항상 본보기를 창조하고 이를 모든 분야에 일반화시키는 것은 우리(북한) 정치의 특징”이라며 “그러나 김정은 정권은 지금까지 특별히 내세울만한 본보기를 만들어 내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때문에 김정은 정권은 김정일 식의 ‘선군정치’를 계속 고집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고위급회담까지 언급하면서 ‘이산자 가족상봉’을 외면한 점도 북남관계를 형식주의적인 틀에서 다루겠다는 의도라고 그는 비판했습니다.

이와 관련 자강도의 한 소식통은 “지난달 30일 중앙당 비서처 비준대상 간부들을 상대로 김정은의 비공개 방침들이 전달됐다”며 “방침 내용은 대부분 전쟁준비와 북남관계와 관련된 것”이라고 12월 3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방침 중엔 “내가 조국통일 대전을 빠른 기간 안에 할 것이라고 하니 5년 후 정도로 생각하는 것 같은데 이는 잘 못된 생각이다. 조국통일은 그 보다 훨씬 빨리 될 것이다”는 내용도 들어 있다고 그는 언급했습니다.

그런가하면 “북남사이에 불신을 없애야 시간을 벌 수 있고 외국의 투자를 유치해 전략물자를 더 빨리 확보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한 결정적 조건을 만들기 위해 국방위원회가 나서야 한다”는 김정은의 방침내용도 이야기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러한 방침은 ‘신년사’ 내용을 토의하는 당 정치국 비공개회의에서 나온 것으로 알고 있다”며 “올해 북남관계 개선을 위한 전 방위적 공세와 함께 국방위원회 명의로 된 여러 조치들을 남한에 재촉 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특히 방침의 내용을 중앙당 비서처 비준급 고위간부들에게만 전달한 것은 올해 ‘신년사’에서 나올 ‘남북대화’ 제의에 크게 기대를 걸지 말도록 미리 경고하는 의미로 보인다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