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 “버마, 북과 핵협력 의혹 해소해야”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내달 1일 50년 만에 처음으로 버마 방문에 나서는 등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가 버마와 본격적인 대화 재개에 나선 가운데 미국 의회가 북한과 버마 간 핵무기 개발 협력 의혹을 잇따라 제기하고 나섰습니다.

미국 의회의 중진 의원들은 북한과 핵 협력을 둘러싼 의혹 해소가 버마 정부의 대미 관계 개선을 위한 진정성을 가늠하는 시험지라며 버마 정부는 물론 오바마 행정부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일리애나 로스-레티넌 미국 하원 외교위원장은 29일 성명을 통해 버마 군부가 일련의 민주화 조치를 취하고 있지만 여전히 더딘 진전을 보여주고 있을 뿐이라며 클린턴 국무장관의 방문이 버마 군사 정부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고 우려했습니다.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그 주요 근거 중 하나로 북한과 버마 간 핵무기 개발을 포함한 군사 분야 협력이 계속돼 온 점을 들었습니다. 그는 버마 군정의 미약한 개혁과 민주화가 더 많은 무기 확산에 묻혀버릴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습니다.

로스-레티넌 위원장은 클린턴 장관의 버마 방문이 버마 군정에 면죄부를 줄 뿐이라며 대화 대신 제재를 가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의 테러,비확산,무역 소위원회 에드 로이스 위원장도 이날 성명을 통해 클린턴 장관이 이번 버마 방문에서 버마 군정의 '진정한 변화' 여부를 북한과 비밀 군사협력을 둘러싼 의혹 해소에서 확인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로이스 위원장은 북한과 버마가 장거리 미사일 개발과 지하 요새 구축, 그리고 핵 개발 등 군사 분야 협력을 해온 언론 보도가 매우 많았다면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앞서 리처드 루거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공화당 간사도 지난 25일 성명을 통해 버마 정부가 북한의 기술 지원 아래 핵무기 개발에 나섰다는 상세한 정보를 5년 전 입수한 사실을 공개하고 양국 간 핵 협력 의혹 해소를 촉구한 바 있습니다.

루거 상원의원은 버마 정부가 미국에 약속한 개혁의 진정성을 확인받기 위해선 행동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미국 정부가 버마의 핵 개발 계획을 완전히 공개하는 것을 최우선 목표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