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리수용 당 정무국 부위원장이 31일 중국을 방문했습니다. 지난 1월 4차 핵실험 이후 북한의 고위 인사가 중국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수용 당 정무국 부위원장 일행을 태운 북한의 고려항공기가 중국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 도착한 건 31일 오전 9시50분께. 이들은 30여분 뒤 차량 10여 대에 나눠타고 공항을 떠났습니다.
지난 1월 제4차 핵실험 이후 처음으로 북측 고위급 인사가 수십명의 수행원을 이끌고 중국을 찾은 겁니다. 중국 신화통신은 이번 방중이 사흘 일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관심사는 리수용 부위원장이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를 소지했는지, 그리고 시진핑 중국 주석을 면담할 것인지에 모아지고 있습니다.
리수용은 이달 초 열린 당대회에서 정무국 부위원장에 임명됐으며, 스위스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유년 시절을 보낼 때 사실상 후견인 역할을 했기 때문에 실세 중 실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중국 당국은 리 부위원장 측의 방중 인원과 일정 등을 확인해 달라는 현지 기자들의 요청에 답하지 않았습니다. 다만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은 북한을 중국의 “중요한 이웃”이라고 표현하며 “정상적이고 우호적인 협력관계를 유지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남한 측 외교부도 원칙적 수준의 평가를 내놨습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우리 정부는 중국과 북한 관계가 한반도 평화 안정 및 북한 비핵화는 물론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나오게 하는데도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기를 기대하고 있으며 중국과 북한관계에 관련해서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 대변인은 “북한과의 대화에 있어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비핵화가 최우선이 된다는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면서 “대화를 위한 대화가 아니라 전략적인 셈법이 바뀐, 행동으로 보여주는 대화가 돼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이날 리수용 부위원장의 중국 방문에 앞서 김정은 위원장은 북중 간 농구경기를 관람하고 양측의 ‘친선’을 언급한 것으로 30일 보도된 바 있습니다.
김 위원장이 중국 관련 외부활동을 한 것은 지난 2013년 7월 29일 평안남도 회창군 중국인민지원군열사릉원을 방문한 이후 처음이었습니다.
북중간 관계개선을 위한 시도는 지난해 12월 12일 북측 모란봉악단이 베이징 공연을 3시간 앞두고 일방적으로 취소 후 귀국하고 그 다음 달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하면서 무위로 돌아간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