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이 북한의 리수용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만난 것은 중국이 대북 영향력을 복원해 북핵 협상 재개를 도모하기 위한 것이란 분석이 나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을 대표로 하는 북한 대표단의 3일 간의 방중 일정이 2일 마무리됐습니다.
리 부위원장은 중국의 시진핑 국가주석 등을 만나 북한의 핵, 경제 병진노선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고 이에 대한 중국 측의 경고나 비핵화 관련 언급은 미약했던 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이에 대해 미국 해군분석센터(CNA)의 켄 고스 국제관계국장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중국이 리 부위원장의 방중 기간 북한의 병진노선을 지지(endorse)한 것이 아니라고 지적했습니다.
중국 측 입장에서 시 주석이 리 부위원장을 직접 면담한 것은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약해진 중국의 대북 지렛대를 복원하기 위한 노력이란 게 고스 국장의 설명입니다.
특히 중국은 장성택 사망 후 김정은 위원장과의 소통을 도와줄 인물을 원했는데, 예스맨(yesman), 즉 윗사람에 맹종하는 성향의 최룡해 부위원장보다 리수용 부위원장이 이에 더 적합한 인물이라고 판단했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고스 국장은 앞으로 중국이 이렇게 지렛대를 활용해 6자회담 등 북핵 협상 재개를 적극 도모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고스 국장:중국은 향후 북한을 핵 협상장에 복귀시킬 방안, 또 남북 대화와 미북 대화로 이끌 방안을 찾기 위해 노력할 것입니다.
하지만 고스 국장은 핵협상 재개와 관련된 북한과 한미 양국의 입장차가 너무 커 중국이 북한의 협상장 복귀를 설득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덧붙였습니다.
미국 스팀슨센터의 중국 전문가인 윤 선(Yun Sun) 선임연구원은 중국이 북한의 병진노선을 지지하진 않지만 북한이 호소하는 안보 우려를 이해하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선 연구원: 중국 측은 북한의 안보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미국과 한국이 일방적으로 북한에 핵무기 포기를 요구하기에 앞서 먼저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런 배경으로 리 부위원장의 이번 방중 기간 중국 측이 북한의 핵개발을 반대한단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았을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선 연구원은 시진핑 주석이 리 부위원장과의 면담에 응한 것 자체가 올해 초 북한의 핵실험 이후 경색된 북중 관계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중국 측의 입장을 반영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