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국가안전보위부에서 미행업무를 담당하던 11국을 8국으로 변경하고 한국인들과 탈북자들을 역이용하는 대남공작을 기본임무로 지정해 준 것으로 전해지고 있습니다.
북한 내부소식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2009년 김정은 제1위원장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자로 내정되면서 제일 먼저 장악한 곳이 호위총국과 국가안전보위부입니다. 당시 김정은이 국가안전보위부 산하에 대남공작을 전문으로 하는 기구를 따로 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자유아시아방송과 연계가 닿은 북한의 한 간부는 “지난해 국가보위부가 11국의 대호를 8국으로 변경했다”며 “국가보위부 산하 기관의 대호를 변경했다는 것은 다른 사법기관과 대남기관들의 대호도 변경됐음을 의미한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은 후계자로 있던 시절에 기존 국가보위부 ‘미행국’이었던 11국을 ‘대외정치국’으로 전환시켰다며 ‘대외정치국’은 보위부 본부 내에서 ‘적공국’이라는 별칭으로 통하는데 ‘대외정치국’의 임무는 대남사업이라고 소식통은 설명했습니다.
‘대외정치국’이라는 명칭은 국가보위부가 ‘대남적화공작’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달아 놓은 이름이라며 지난해 7월 국가보위부가 산하 기관들의 대호를 모두 변경시킨 것은 내부의 업무체계를 감추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이와 관련 북한 보위부 사정을 잘 파악하고 있다는 또 다른 소식통은 “국가보위부나 인민무력부, 그 밖의 사법기관들에서 8국은 주로 재정경리와 후방물자를 취급하는 산하 기관들이었다”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국가안전보위부 11국은 동북아시아에서도 중국과 일본, 한국만을 전문으로 하는 대외수사 전문기관이었다며 하지만 지난해 11국을 8국으로 바꾸면서 기본 임무도 대남사업으로 변경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소식통은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8국의 대남사업은 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에 나와 있는 한국인들을 간첩으로 포섭하는 것과 탈북자들을 역이용해 한국 내부에 혼란을 조성하고 위장 탈북자들을 다시 북한으로 불러들이는 방법으로 체제선전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소식통은 “8국 요원들은 중국이나 동남아에 나온 한국인들을 포섭해 산업비밀과 국가기밀을 뽑아내려 한다”며 “국가보위부는 어떻게나 한국인들을 포섭해 한국관련 비밀을 빼내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