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6.15남측위 대북접촉 승인”

0:00 / 0:00

앵커 : 남측 통일부가 31일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의 대북접촉 신청을 승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지난 2008년 이후 처음으로 남북 공동행사가 개최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남한 정부가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의 북한 주민 접촉 신청을 승인했지만 6.15 선언을 기념하는 남북 공동행사를 허용할지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통일부 당국자는 1일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기본적으로 민간교류는 대북제재, 국제사회의 공조라는 틀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이뤄지는 게 맞다”면서 “접촉은 단순히 의사 전달을 하는 간단한 내용이고 행사는 좀 더 복잡한 행동이기 때문에 정부가 여러 각도에서 검토해 봐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6.15남측위원회의 방북을 허용할 것인지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서도 “지금 방북을 허용할지 말지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면서 “단체의 방북신청이 들어온 후 종합적으로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부의 이 같은 접촉 승인이 남북 공동 행사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대해 대북 민간교류단체들은 큰 기대를 하지 않는 분위기입니다.

대북 민간교류단체 관계자: 이번에 대북접촉이 승인 난 것은 북측 대표단을 만나 상의하는 정도지 6.15 행사를 (공동으로) 대중적으로 연다든지, 방북을 허용한다든지의 수준은 아닌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6.15남측위는 지난 2월 남측 정부의 승인 없이 중국 선양에서 6.15북측위 대표단을 만나 “서울과 평양 등 지역에서 다양한 민족 공동행사들을 개최하자”고 합의했습니다. 당시 이들은 공동보도문을 통해 “6월 15일부터 10월 4일까지 남북선언 발표 기념 기간으로 정했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노무현 정부 시절에는 6.15 공동선언 기념일을 계기로 민간단체들이 남북을 오가며 공동행사를 개최했습니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2008년 금강산 행사를 끝으로 남북 공동행사는 열리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