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실무회담 제안 북 폄훼 유감”

0:00 / 0:00

앵커: 한국의 통일부는 16일 개성공단과 관련해 남북 당국간 실무회담을 갖자는 제안을 거부한 북측에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통일부는 개성공단의 운영이 중단된 지 40여일이 지남에 따라 남측 입주기업들이 “절박한 상황”에 처했다고 표현했습니다.

이를 조금이라도 완화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지난 14일 개성공단 내 원·부자재와 완제품 반출을 위한 실무회담을 북측에 제안한 거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통일부는 실무회담이 “시급한 상황”인데도 북측이 15일 이를 거부한 것에 대해 강한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김형석 통일부 대변인: 이러한 정부의 진심 어린 제안에 대해 북한이 어제 일방적 주장으로 이러한 우리의 대화 제의를 폄훼한 것에 대해 대단히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김 대변인은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이 막대한 피해와 고통을 겪고 있는 것은 북한의 부당한 통행 제한 조치와 근로자 철수 때문”이라고 다시 한 번 강조했습니다.

또한 북한이 이른바 “근본문제”의 해결을 요구하는 등 “개성공단 운용과 무관한 주장”을 반복하기 보다는 기업의 투자와 자산을 보장하기 위한 약속부터 성실히 지켜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북측은 15일 남측이 제시한 대화 의제를 “지엽적인 문제”라고 표현하면서 “근본문제”를 다뤄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다만 “근본문제”가 구체적으로 무엇을 뜻하는지는 밝히지 않았습니다.

전문가들은 북측이 정전협정 60주년을 맞이해 미국 등과 이른바 “동등한 핵보유국”의 입장에서 협상을 통해 평화협정을 맺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평화협정을 위한 선결 과제로 북측은 주한미군의 철수 여부 등과 같은 이른바 “근본문제”를 논의하고싶어 한다고 풀이했습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개성공단 문제가 먼저 풀려야 북측과 다른 사안도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입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15일 개성공단의 운영이 중단된 상황과 관련해 "다시는 이런 일이 벌어지지 않을 확고한 틀이 만들어지기 전에는 그냥 적당히 해서 다시 공단을 여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