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한국 정부가 최근 울릉도 근해에서 구조한 북한 선원에 대한 인계 절차에 북한 당국이 호응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했습니다. 그런데 북측은 계속해서 엇박자를 내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지난 4일 울릉도 근해에서 구조한 북측 선원을 인계하기 위해 대한적십자사 총재 명의로 13일 오전 북측에 통지문을 발송했다고 밝혔습니다.
남측 해경은 울릉도 근해에서 침수 중이던 북한 선박 1척과 함께 선원 5명을 구조했으며, 이들 중 3명은 남측에 귀순 의사를 표명했습니다. 이에 남측은 나머지 2명만 북한으로 송환하겠다며 북측에 수차례 통지했지만, 북측은 5명 모두 송환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정준희 통일부 대변인: 우리 측은 통지문을 통해 북측으로 돌아가기를 희망하는 2명을 송환하고자 여러 차례에 거쳐 북측의 호응을 촉구하였음에도 북측이 이에 응하지 않은 것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판문점을 통한 인계 절차에 조속히 응할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하였습니다.
귀순 의사를 밝힌 선원 3명의 인적 사항과 가족 면회를 북측이 지난 10일 요구한 데 대해서도 통일부는 수용할 수 없다는 뜻을 다시 한 번 밝혔습니다. “본인들의 희망과 자유의사, 그리고 인도적 사안에 대한 국제적 관례”를 고려해야 한다는 게 이유입니다.
하지만 북측은 이날도 “모두 돌려보내라”는 기존 입장을 다시 한 번 확인했습니다. 강수린 북한 적십자회 중앙위원회 위원장은 13일 "주민 5명을 넘겨받기 위해 14일 오전 11시 해당 관계자들이 그들의 가족들과 함께 판문점에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북측 선원을 송환하기 위한 과정은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정준희 대변인은 “2011년 2월에도 한 달 넘게 북측 선원의 송환이 지연된 경우가 있었다”면서 그때도 지금과 마찬가지로 북측은 모두 돌려보내라고 요구했지만 협의를 통해 남측의 입장을 관철했다고 설명했습니다.
2011년 당시엔 상황이 지금보다 훨씬 복잡했습니다. 서해 연평도 인근으로 표류한 목선에 탑승한 북측 주민은 31명이나 됐고, 애초에는 모두 귀환을 원한 것으로 보도됐지만 조사결과 4명이 남한에 남기로 결정한 것으로 공식 발표됐습니다. 북측은 이를 “귀순공작”의 결과라며 반발했습니다.
하지만 남측은 북측과 협의를 통해 귀순 의사를 밝힌 4명은 돌려보낼 수 없다는 입장을 관철했고, 결국 표류 목선을 발견한 지 50일만인 3월 27일 북측 주민 27명이 돌아감으로써 이 사건은 일단락됐습니다.
남측 통일부 당국자는 "지금까지 귀순 의사를 밝힌 북한 주민을 북측으로 송환한 전례는 없다"고 말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