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군의 주요 핵심 부서들이 물자난을 해결하기 위해 자체로 매점들을 운영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뇌물 상납 요구가 지나쳐 개인 상인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고 합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평양시내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인민무력부, 총참모부 산하 군 기관들이 매점들을 차려놓고 물자난 해결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평양시 력포구역(역포구역)에 사는 한 시민은 최근 자유아시아방송과의 전화통화에서 "군부대 각 기관들이 자체 부업기지를 만든다고 부대 내 건물들을 개조하고 그것을 개별적인 상인들에게 빌려주고 장사를 시키고 그 대가로 금품을 받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주민은 "무력부 산하 군수동원총국과 군사건설국에는 대좌(대령)가 지도원 편제인데, 반찬도 부실하게 먹고, 전기불도 없는 방에서 어려운 생활에 쪼들리고 있다"고 최근 북한군의 보급 실태를 입증했습니다.
이 주민은 군부대에 소속된 한 매점 주인의 실례로 들면서, "군부대에 입주한 매점 주인은 1년에 강냉이 1톤을 무조건 부대에 바쳐야 하며, 군관들에게 매일 점심 한 끼 보장하고, 명절 때는 돼지고기와 술 등 명절물자까지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최고 특권을 자랑하던 군 기관들이 물자난에 쪼들리게 되자, 부대 건물을 상인들에게 임대하는 식으로 빌려주고 후방물자를 충당하고 있다는 지적입니다.
소식통은 "아무리 무력부 매점이라고 해도 대주는 것은 하나도 없고, 매장 꾸리기부터 시작해서 상품 조달까지 전부 개인들이 다 맡아야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남포시에 거주하는 또 다른 주민도 "인민군 3군단 산하에도 이러한 상업매장이 여러 군데 있다"면서 "군관들의 상납요구가 지나치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부대 군관들은 손님이 찾아오면 쩍하면 매점 물건을 외상으로 가져가는데, 주인들은 그 외상값을 받지 못할 것을 각오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군대들의 요구가 심해도 상인들이 군부대 매점을 고집하는 이유는 매점이 군부대 산하기 때문에 상인들이 농촌동원이나 각종 사회동원에 빠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인민군 산하 주요기관에서 상행위가 노골적으로 나타나자, 지난해 초에 김정은 국방위 제1위원장은 "병영구역 안에서 돈벌이 하는 매점과 군인상점을 없애라"는 지시를 내린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지시는 한동안 지켜지는 듯 하다가 몇 개월이 지나면 또다시 흐지부지 되는 데 북한군에 대한 보급이 개선되지 않는 한 매점이 없어지기 어렵다는 지적입니다.
김정일 시대에 북한군은 선군정치 특권아래 알짜배기 이권을 틀어쥐고, 근 10년 가까이 온갖 특혜를 누려왔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정권이후 군을 장악하는 과정에 군 장령들이 수시로 교체되고, 군 장령들을 홀대하면서 보급도 열악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0:00 / 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