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한 우라늄 농축・경수로 건설 우려”

0:00 / 0:00

MC

: 미국은 북한의 경수로 건설과 우라늄 농축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한 것이라면서 거듭 우려한다고 밝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마크 토너 부대변인은 30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미국은 북한의 경수로 건설과 우라늄 농축을 우려하고 있다면서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의 위반일 뿐 아니라 2005년 9.19공동성명에 따른 북한의 의무에도 위배된다고 말했습니다.

insert

(Toner)

It's UEP and alleged construction of LWR would violate the existing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as well as its own commitment under the 2005 joint statement.

토너 부대변인은 이날 북한 외무성의 우라늄 농축과 경수로 건설 관련 발언에 대한 질문을 받고 미국 정부는 전에도 같은 우려를 표명했다면서 기존의 대북 정책과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30일 경수로 건설과 저농축 우라늄 생산이 빠른 속도로 추진되고 있다면서 핵 에너지에 대한 북한의 평화적 이용 권리는 그 누구도 침해할 수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면서 평화적 핵 활동을 지연시키려는 시도는 “단호하고 결정적인 대응조치를 불러오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또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우려되는 바가 있으면 6자회담을 통해 얼마든지 논의할 수 있고 국제원자력기구를 통해 경수로와 우라늄 농축의 평화적 성격을 확인시켜줄 수 있다”면서 조건 없는 6자회담 재개를 재차 요구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북한 측 주장은 6자회담 재개에 앞서 북한이 우라늄 농축을 중단하고 국제원자력기구가 이를 확인해야 한다는 미국과 한국 측의 입장과는 크게 어긋나는 것입니다.

한편 중국 측은 북한 외무성의 우라늄 농축과 경수로 건설 언급에도 불구하고 “6자회담의 틀 안에서 참가국들의 관심사를 논의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30일 정례기자설명회에서 이 같은 중국의 입장을 밝히면서 “중국은 현재 상황에서 관련국들이 함께 노력해 조기에 6자회담이 재개되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