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이 국방위원회를 통해 상호비방을 전면 중지하자고 한 중대제안에 대해 한국 정부는 "신뢰는 말로 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한다"며 "북한의 이번 중대제안은 여론을 호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의 중대제안을 사실상 거부한 것입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국방위원회는 16일 저녁 중대제안을 통해 “오는 30일부터 상호 비방·중상과 군사적 적대행위를 전면중지하자며 한국 정부가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북한 국방위원회 발표 직후 한국 정부는 청와대에서 긴급 국가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17일 아침 통일부 대변인 논평 형식으로 입장을 발표했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북한이 사실을 왜곡하고, 터무니없는 주장을 계속하면서 여론을 호도하려는데 대해서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
한국 정부는 또 “한미합동군사연습은 연례적인 방어훈련이고 매년 북한에도 통보해온 정당한 군사훈련”이라며 “북한이 먼저 과거 도발행위에 대해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리고 “북한이 한반도의 평화를 원한다면 비핵화를 위한 실질적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특히 남북 이산가족 문제에 대해선 인도주의적인 문제인 만큼 정치적 사안과 연계하지 말라고 했습니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 : 북한은 지금이라도 즉시 아무 조건 없이 이산가족 상봉을 실현시켜서 남북관계 첫 단추를 풀어가는 모습을 보여야 할 것입니다.
한편, 한국의 국방부는 예정대로 한미합동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군사훈련을 빌미로 도발해 올 경우 가차 없이 응징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 (북한이 제안한) 유화책이라는 것은 상당히 내용을 왜곡한 그런 주장이라고 봅니다. 따라서 그런 것들을 명분으로 해서 도발한다면 가차 없이 응징할 것입니다.
북한이 중대제안을 한 배경을 놓고 한국의 대북 전문가들 사이에선 다양한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대체로 명분쌓기용 평화공세라는 해석이 많습니다.
김광인 코리아선진화연대 이사 : 북한이 대남 평화공세를 하는 이유는 평화를 추구한다는 것을 대내외적으로 선전하고, 또 유사시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도발을 해야 하는데 도발 감행을 위한 명분쌓기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결국, 한미합동군사훈련 중단을 제안해 이후 벌어질 긴장사태에 대한 책임을 남한 측에 떠넘기려는 의도란 것입니다.
한국 정부가 북한의 중대제안을 사실상 거부함에 따라 이제 공은 다시 북한으로 넘어갔습니다.
북한이 후속 조치로 어떤 행보를 보일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