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북-파키스탄 군사협력에 우려

0:00 / 0:00
13일 인도 뉴델리의 인도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북한과 인도 양국 외무장관 회담에서 양국 장관이 악수하고 있다.
13일 인도 뉴델리의 인도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북한과 인도 양국 외무장관 회담에서 양국 장관이 악수하고 있다. (사진-인도 외교부)

앵커 : 인도, 즉 인디아 정부가 뉴델리를 방문한 리수용 북한 외무상에게 북한과 파키스탄 간 군사협력에 대해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수슈마 스와라지 인도 외무장관이 13일 인도를 방문한 리수용 북한 외무상과 회담에서 북한이 파키스탄과 긴밀한 군사협력 관계를 맺어온 데 대해 우려했습니다.

인도 ‘CNN-IBN’ 방송 등은 이날 뉴델리의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양국 외무장관 회담에서 인도의 안보 우려가 주요 안건으로 다뤄졌다며 이같이 전했습니다.

방송은 특히 나렌드라 모디 총리의 한국 방문을 한 달 정도 앞두고 리 외무상이 인도를 찾은 점에 주목했습니다.

인도 정부가 유엔과 서방의 엄격한 경제제재를 받고 있는 북한과 관계를 재평가할 수 있는 기회였다는 겁니다.

실제 중국, 러시아에 이어 북한의 세번째 교역국(2013년 기준)이었던 인도는 2014회계연도(2013년 4월~2014년 3월, 총 교역량 1억9천900만 달러) 대북교역이 전년도(4억6천200만 달러)에 비해 절반 이상 급감했습니다.

이같은 언론 보도는 인도 외교부가 회담 뒤 보도자료를 통해 이날 회담이 진솔하고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고 밝힌 것과 사뭇 다른 분위기여서 눈길을 끕니다.

한편 리 외무상은 인도 정부가 그동안 북한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해 준데 사의를 표하고 추가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스와라지 장관은 이에 대해 긍정적으로 고려하겠다고 답해 조만간 추가 대북지원에 나설 가능성을 열어뒀습니다.

리 외무상은 북한과 인도가 1973년 수교한 이후 42년 만에 외무상으로서는 처음으로 인도를 방문했습니다.

인도 정부는 리 장관의 이번 방문이 스와라지 장관의 초청에 따라 이뤄졌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모디 총리가 유럽과 캐나다 순방으로 자리를 비운데다 양국 외무장관 회담 뒤 공동성명이나 기자회견도 없어 ‘환대’와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는 지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