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의 윌리엄 번즈 국무부 부장관이 서울에서 김규현 외교부 1차관과 면담을 갖고 한미 동맹, 북핵 문제, 동북아 정세 등에 대한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특히 번즈 부장관은 "박근혜 대통령의 원칙있는 대북 접근을 강력히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서울 외교부에서 21일 오전에 진행된 한미 고위급 협의에서 양측은 북한의 현 정세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한미공조 강화의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 했습니다.
특히 한미 양측은 장성택 처형 사건 이후 북한 정세에 “유동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김규현 외교부 1차관과 면담이 끝난 후 번즈 부장관은 기자들에게 “북한 지도부의 최근 행동과 북한이 미래에 취할 수 있는 더욱 무모한 행동과 추가적인 도발에 관한 많은 우려를 공유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한미 양측은 우선 북한 정세에 대한 인식 공유를 토대로 대북정책과 관련해 더욱 긴밀히 공조하기로 했습니다.
번스 미 국무부 부장관: 미국은 박근혜 대통령의 원칙있는 대북 접근을 강력히 지지하고, 한국의 안보를 위해 적극 지원하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
북한의 도발 가능성과 관련해, 한미 양측은 “이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과 함께, 도발시 한·미 연합방위태세에 입각해 강력히 대응한다는 기본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한국의 외교부는 밝혔습니다.
북핵 문제와 관련해서도 한미 양측은 이를 “최우선 순위”에 둔다는 점을 재확인하면서 중국 등 관련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통해 북핵문제의 실질적 진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기로 했습니다.
이번 김 차관과 번즈 부장관간의 면담은 지난 해 12월 한미 차관급 전략대화에 이어 올해 1월 7일 외교장관 회담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한미간 고위급 대화의 연장선상에서 개최된 것이라고 한국의 외교부는 설명했습니다.
번즈 부장관은 20일 밤 서울에 도착했고, 21일 중국으로 출국해, 일본을 거쳐 미국으로 돌아갈 예정입니다.
한편 26일에는 미국의 러셀 국무부 동아태차관보가 한국을 방문해 대북 정책을 조율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