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북한의 계속되는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강경 대응으로 일본이 대북 추가 제재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한국도 단호히 대응하겠다고 밝혔지만 남북교류를 언급하는 등 다소 유화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일본 정부가 탄도미사일 발사를 반복하는 북한에 대해 독자적 제재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먼저 북한의 항구를 드나드는 외국 선박과 적재 화물에 대한 엄격한 검사가 이뤄질 전망이라고 일본 언론은 24일 보도했습니다.
또한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 기업과 금융기관을 제재하는 이른바 세컨더리 보이콧 실시도 추진할 방침입니다.
일본 정부는 또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 압력을 강화하기 위해 북한에 영향력을 가진 중국과 러시아에 제재 행사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일본 정부와 마찬가지로 한국 정부도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해선 용납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히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 정부는 대북제재와 별도로 남북교류를 추진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서는 강력히 대응해 나간다는 기본 원칙을 확고하게 갖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 남북관계가 계속 단절되는 것은 한반도 상황 관련해서 바람직하지 않은 측면이 있기 때문에..
정의용 청와대 외교안보실장도 지난 22일 국회를 방문한 자리에서 북한과의 대화를 강조했습니다.
더구나 문정인 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는 24일 한 언론과의 회견에서 5.24 대북조치의 해제를 주장하면서 금강산 관광과 개성공업지구 사업 재개 방안도 언급했습니다.
이에 대해 주무부서인 통일부는 “북핵 문제 해결에 맞춰서 추진할 사안”이라며 즉답을 피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