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북한 변화의 길 나서야”

0:00 / 0:00

앵커 : 통일준비위원회 4차회의가 16일 열렸습니다. 이날 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이 변화의 물결을 외면하지 말고 반드시 개혁과 대화의 길로 나가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이 주재하는 통일준비위원회 위원장단 집중토론회의가 16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렸습니다.

올해 들어 처음 열린 통일준비위원회 회의는 지난해 이뤄진 3번의 전체회의와 달리 위원장단 30여 명만이 참석했습니다.

국제정세와 통일준비, 남북 간 실질적 교류협력 추진방향, 그리고 통일 이후 복지·연금·고용과 투자재원 조달방향 등 3개 주제를 놓고 토론이 진행됐습니다.

이날 회의의 구호는 ‘광복 70년, 평화통일의 새 길을 열어가겠습니다’로 회의 첫 부문에서는 국제정세와 통일준비를 주제로 토론이 이뤄졌습니다.

박근혜 대통령은 모두 발언에서 “통일 준비의 목표는 북한의 고립이 아니라 북한이 국제사회에 책임 있는 일원으로 나오도록 하는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특히 몽골과 윁남(베트남), 미얀마 등의 개혁 개방을 소개하면서 “북한도 이러한 변화를 외면하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 쿠바는 미국과 국교를 재개했습니다. 북한은 이런 변화의 물결을 외면하지 말고 직시해서 하루속히 개혁과 대화의 길로 나서야 할 것입니다.

이어 통일 후 복지와 연금, 고용과 투자재원 조달 방안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됐습니다.

참석자들은 투자재원 조달을 위해 세계의 공공 민간 자본이 한반도에 투자하고 세계 경제 도약의 종잣돈이 될 수 있도록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 통일 이후 북한의 SOC 건설과 자원 개발계획들을 세심하게 세워나간다면, 때가 될 때 국내외 투자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한, 이날 회의에선 남북 간 실질적 교류협력 추진 방안도 논의됐습니다.

박 대통령은 이 부분에서도 “정부 노력만으로는 남북 주민의 격차를 좁히는 데 한계가 있다”면서

“민간 교류 활성화를 위한 여건 마련에도 힘써 달라”고 당부했습니다.

앞서 지난해 12월 초 열린 통준위 3차 회의에서는 통일헌장 마련방안 및 비무장지대 내 세계생태평화공원 후보지별 발전구상, 그리고 통일준비를 위한 국민공감대 형성방안 등이 논의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