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 국무부는 15일 러시아와 북한이 내년에 러시아 극동지역 해상에서 실시할 것으로 알려진 합동군사훈련이 북한의 핵개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약화시켜서는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는 15일 대변인실 명의로 된 보도자료에서 미국은 러시아와 북한이 2012년 해상에서 합동군사훈련을 계획하고 있다는 언론 보도를 알고 있다면서 이 훈련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러시아 정부가 답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국무부는 북한과의 어떤 접촉과 교류도 북한의 무기 프로그램을 우려하는 국제사회의 분명한 의사와 6자회담 재개를 위해 북한이 해야 할 일의 필요성을 훼손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Any engagement with the North Koreans should be conducted in a way that does not detract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s clear message of concern about the North's weapons programs, and the necessity for Pyongyang to do what is necessary to return to the Six-Party talks.)
다시 말해 러시아가 북한과 합동군사훈련에 나섬으로써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용인하거나 이를 별로 개의치 않는다는 잘못된 신호를 보내선 곤란하다는 설명입니다.
러시아 언론 보도에 따르면, 러시아 군 당국은 지난 13일 북한과의 합동 군사훈련을 내년에 개최할 계획이라고 확인했고 앞서 기자회견을 통해서도 러시아 군사 대표단이 지난달 말 북한을 방문해 재난을 당한 선박의 수색과 구조 등 인도주의적 방향의 훈련에 대해 북한 측과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앞서 13일 일본의 아사히신문도 북한과 러시아가 이르면 올해 안에 합동군사훈련을 벌이기로 합의했다면서 두 나라가 벌이기로 한 훈련은 전투기 조종사가 조난했을 때를 대비한 수색, 구조 훈련으로 이르면 연내에 러시아 극동지역 해상에서 양국의 해, 공군이 참가해 실시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했습니다.
이 신문은 지난 8월 말 러시아를 방문한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러시아의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대통령과 만나 공격과 방어 훈련을 포함한 본격적인 합동군사훈련을 제안했지만 러시아 측이 난색을 표해 수색과 구조 훈련을 하는 수준으로 합의됐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한국의 한 관리는 14일 한국 언론에 “어떤 성격의 훈련인지 진행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밝히는 등 한국 정부는 북한과 러시아의 이례적인 합동군사훈련이 주변 지역에 미칠 영향을 예의 주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