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북제재, 북한 서민에게는 별 영향 없어”

0:00 / 0:00

앵커 :북한은 소위 '제재피해 조사위원회'라는 기구를 통해 국제사회를 향해 유엔의 대북제재가 인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북한 현지소식통들은 실제로는 대북제재로 주민들이 잃는 것보다 얻는 것이 더 많다고 전하고 있습니다.

문성휘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의 ‘재제피해 조사위원회’가 지난달 29일에 이어 10월 20일에도 대변인 담화를 통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주민생활에까지 해를 끼치고 있다”며 “제재의 목적이 (북한의)제도 전복에 있다”고 비난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20일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유엔의 대북제재가 사회 전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건 사실이지만 오히려 좋은 점도 있다”며 “고급 간부들과 돈주들에겐 타격이 크지만 일반 주민들에겐 대북제재가 오히려 긍정적인 기회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대북제재가 시작된 후 휘발유 가격이 kg당 중국인민폐 16위안까지 오르며 차량을 이용해 식량과 생필품을 유통시키던 돈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며 “대신 열차를 이용하던 메뚜기 장사(보따리상)가 더욱 활발해 지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대북제재가 시작된 후 수출길이 막힌 석탄가격이 내려가며 겨울철 주민들의 연료 부담이 줄어들고 있다”며 “그동안 값이 비싸 사먹을 엄두를 못 내던 임연수와 청어를 비롯한 고급어종들도 수출이 안 되자 장마당에 싼 값에 많이 나왔다”고 소식통은 덧붙였습니다.

소식통은 “휘발유 값이 오른 후 부터 도로에 나가보면 개인들의 오토바이가 상당히 늘었음을 알 수 있다”며 “기존에 돈주들이 대형 화물차량을 이용해 옮기던 장사물품들을 이제는 오토바이 운전자들이 소량으로 분할해 나르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소식통은 또 “이러한 관계로 하여 대북제재는 힘없고 자금이 부족한 서민들에겐 오히려 기회가 되고 있다”며 “대북제재가 우리 사회에 고착화된 ‘부익부 빈익빈’의 판도를 바꿀 수도 있어 간부와 돈주들은 큰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건 사실”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편 양강도의 한 소식통은 “휘발유 가격이 kg당 16위안으로 올랐다는 것은 그만큼 휘발유 수요가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휘발유 가격이 올랐음에도 버스나 대중교통 수단의 운임은 소폭으로 올랐을 따름”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소식통은 “대북제재 이후 주춤하던 밀수가 활발해지면서 일부 의약품과 화장품 값이 오히려 내림세에 있다”며 “장마당에서 값이 오른 건 휘발유와 디젤유, 분유와 사탕가루(설탕) 정도이고 그 외 전반적인 물가는 안정세거나 조금씩 내려가는 추세”라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