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최근 북한 국가안전보위부가 중국에 나와 있는 외화벌이 일꾼들을 줄줄이 소환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 고위층들의 잇단 탈북과 때를 같이해 전면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보입니다.
정영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내부사정에 정통한 중국의 대북소식통은 "지난 달(6월) 하순에 중국 심양에 나와 있던 외화벌이 주재원 여러 명이 본국으로 급히 불려갔다"면서 "이들은 자발적인 귀국이 아니라 강제 소환된 격"이라고 6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말했습니다.
소식통은 "예전엔 무역일꾼들을 사업총화를 위해 연말에 불러들이곤 했는데, 이번에 대상을 찍어 불러들인 걸 봐선 분명히 체포"라고 못 박았습니다.
이러한 강제 소환 조치는 중국의 수도 베이징(북경)과 심양, 연길 등지에 나와 있는 당과 군 산하 외화벌이 지사들에 내려진 것으로, 국가보위부가 해외주재 무역일꾼들을 대대적으로 실사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소식통은 현지 분위기를 전했습니다.
한편, 중국 길림성 연길시에 거주하는 40대 중반의 조선족 무역업자도 "인민무력부 산하 외화벌이 일꾼 여러 명도 지난달 아무 소리 없이 사라졌다"면서 "이 사람들과 거래하던 중국 대방들은 도주가 아니냐는 의혹을 낳기도 했다"고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이로 인해 현재 중국에 나와 있는 북한 외화벌이 일꾼들과 가족들은 살 얼음장을 걷는 심정"이라며 "최근 내부에서 고위층들을 숙청한다는 소문이 중국에도 쫙 퍼져 신변위협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지난 4월 말,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을 처형하는 등 공포정치를 펴자, 중국 주재 무역일꾼들은 자신들에게도 불똥이 튈까 봐 마음을 졸이고 있다는 겁니다.
이러한 무역일꾼 강제 소환 조치는 북한 국가보위부가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최근 한국 언론에서 북한 고위층 10여명이 망명했다는 설이 제기되는 가운데, 북한 보위부가 해외망명 가능성이 높은 무역일꾼들을 소환해 조사하는 것 아니냐는 추측도 낳고 있습니다.
중국 심양의 소식통은 "무역일꾼 소환조치는 한국인 선교사들이 북한에 납치된 이후 더욱 심해졌다"며 "최근 불려 들어간 사람들은 한국 사람들과의 연계가능성을 집중 추궁 받는 것 같다"고 전했습니다.
북한 무역당국은 올해 초 만해도 중국에 나가 있는 외화벌이 일꾼들에게 "남조선 기업가들과도 유연하게 대응하라"는 지침을 하달하는 등 돈벌이에 치중해왔습니다.
하지만, 체제 붕괴를 우려한 국가안전보위부 등 공안당국이 득세하면서 한국인들과 접촉했던 무역일꾼들을 무더기로 소환해 전면조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