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노동당이 주민들의 '생활총화' 노트를 단체별로 따로 보관하도록 조치한데 이어 최근엔 '강연회' 노트마저 없애도록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당국의 부당한 선전내용이 외부세계에 노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소식통들은 전하고 있습니다.
관련 소식 김지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 노동당 중앙위가 내부 비밀유지를 위해 지난해 5월부터 해당 인민반과 기관 기업소 등 조직별로 ‘생활총화’ 노트를 공동 보관하도록 한데 이어 최근엔 당이 주관하는 주민강연회 노트까지 모두 없애도록 지시했다고 복수의 현지 소식통들이 전해왔습니다.
함경북도의 한 소식통은 “앞으로 ‘강연회’에서 내용을 잘 듣기만 하되 절대 강연 내용을 노트에 필기하지 말라’는 지시가 내렸다”며 “이제는 주민들에게 큰 부담이 되는 강연회 노트가 사라지게 돼 주민들은 오히려 반기는 분위기”라고 1일 자유아시아방송에 밝혔습니다.
그동안 북한은 주민들에게 개별적으로 강연회 노트를 만들게 하고 해당 당 조직, 근로단체 조직 검열이 있을 때마다 조직원 개인들의 생활총화 노트, 김일성, 김정일 노작 학습 노트, 강연회 노트부터 먼저 검열했었다고 소식통은 이야기했습니다.
주민들마다 의무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강연회 노트에는 회의 날짜와 제목, 기본 내용과 지어 출연한 강사의 이름까지 꼼꼼히 기록하도록 북한 당국은 주민들에게 요구해왔다고 소식통들은 설명했습니다.
북한당국은 또 강연회 노트기록을 근거로 개별적 주민들의 조직생활 참여도를 가늠했다고 그는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강연회에서 주민들에 지시한 내용이 외부 세계에 노출되어 공개되는 일이 빈번해지자 북한은 비밀 보장을 위해 강연회 노트를 일체 없앨 것을 지시하게 된 것이라고 소식통은 강조했습니다.
이와 관련 함경남도의 한 소식통은 “‘강연회’노트를 없애라는 중앙의 지시는 지난 8월에 있었는데 공식적으로 주민들에게 그런 지시를 포치(전달)한 것은 당 창건 기념일이 지나서였다”고 최근 자유아시아방송에 전했습니다.
소식통은 당 중앙위는 표면적으로는 개인들의 편리를 위해 불편한 강연회 노트를 없애는 것이라고 발표했지만, 주민 누구도 이런 말을 믿지 않는다며 이 같은 사실을 미처 전달받지 못해 강연회에서 내용을 받아 적는 사람들을 따로 불러내 필기하는 이유를 조사하는 것만 보아도 주민편의를 위해서라는 당국의 주장은 변명에 불과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소식통은 그러면서 “주민들 입장에서는 강연회 노트를 없애라는 지시를 크게 반기고 있는 분위기"라며 “기왕이면 이번 기회에 강연회 자체를 아예 없애버리거나 강연회 시간에 잠이나 좀 자게 내버려 두었으면 좋겠다”고 중앙의 오락가락하는 방침을 비난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