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미국은 북한 핵문제를 국제사회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해결한다는 분명한 청사진(blueprint)을 가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오는 4월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한의 핵문제가 논의될 예정입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국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마이크 해머 대변인은 22일 북한의 도발 행위에 대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강력한 제재를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주요 국제문제를 다루는 방식의 대표적인 예로 들었습니다.
해머 국가안보회의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 1주년을 맞아 워싱턴의 외신기자협회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오바마 행정부의 집권 1년은 북한 핵 문제와 같은 매우 중요한 국제문제에 대해 국제사회가 하나로 뭉치면 어떤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지 잘 보여줬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해머 대변인: 기억하시겠지만, 북한의 도발, 즉 핵실험에 대한 대응은 이제껏 북한에 가해진 가장 강력한 제재입니다. 이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의 대북 제재가 강력할 뿐만 아니라 실제 이행됐다는 점 역시 중요합니다.
해머 대변인은 이 강력한 대북 유엔 제재의 결과로 “북한이 제정신을 차린 것 같다”며 “북한이 고립을 피할 수 있는 유일한 길은 6자회담에 복귀하는 것이라는 점을 이해하길 희망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처럼 6자회담 복귀가 북한 핵문제와 관련해 유일한 해법이라는 미국의 입장을 북한에 분명히 전했다며 다만 “북한이 이 길을 택할지는 아직 모른다”고 덧붙였습니다.
해머 대변인: 북한은 가끔 (우리를) 안심시키는 얘기를 하다가도 곧 이어 다른 얘기를 해서 아직 6자회담에 복귀할 준비가 안됐다는 암시를 주곤 합니다.
해머 대변인은 핵문제 해결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습니다. 그는 “6자회담의 초점이 한반도의 비핵화”라며 “그 이후에야 다른 문제를 들여다보기 시작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해머 대변인은 특히 북한 핵문제를 다루는 많은 방안이 있을 수 있지만 오바마 행정부가 국제사회와 협력을 택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를 통해 마련된 강력한 대북 제재로 북한의 핵 확산 노력을 제어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머 대변인은 오바마 행정부가 뚜렷한 대북 청사진을 마련하지 못했다는 지적에 대해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국제사회와 지속적으로 협력할 필요가 있고 바로 이 점이 우리가 하려는 바”라며 “우리는 (북한 핵문제를 어떻게 다룰지) 청사진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해머 대변인: 우리는 북한 핵문제를 어떻게 다뤄야 할지 잘 압니다. 동시에 다른 나라의 행동 방식을 바꾸려면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는 점 또한 잘 압니다.
해머 대변인은 회견 말미에 “미국이 다른 6자회담 참가국과 협력해 북한의 도발과 침략 행위에 대해 맞설 준비가 돼 있다”며 “북한이 고립에서 벗어나는 유일한 길은 국제사회의 의무 이행임을 분명히 해 둔다”고 재차 강조했습니다.
한편 해머 대변인은 4월11일과 12일 이틀간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한 핵문제가 이란의 핵문제와 함께 논의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오바마 대통령이 취임 첫해에 이 문제에 대해 상당한 시간과 관심을 쏟았다”면서 취임 2년째인 올해에도 오바마 대통령이 북한과 이란의 핵문제 해결을 위해 애쓸 것으로 것으로 예상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