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셀 차관보 “북 핵보유국 인정 불가”

0:00 / 0:00
데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가 23일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있다.
데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차관보가 23일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청문회에 출석해 증언하고 있다. (사진-미국 하원 청문회 비디오 캡쳐)

앵커 : 미국과 국제사회는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점을 계속해서 명확히 해왔다고 미국 국무부 고위 관리가 밝혔습니다. 북한의 핵 탄두 보유량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핵 보유국 지위를 인정할 수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걸로 풀이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지난해 말 체결된 한미일 정보공유약정을 통해 세 나라가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에 더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데니얼 러셀 미국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23일 밝혔습니다.

러셀 차관보는 이날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 소위원회 (위원장 맷 새먼)가 주관한 2016 회계연도 국무부 예산 관련 청문회에 제출한 서면 증언에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또 미국과 한국, 일본의 동맹관계가 북핵 6자회담의 토대를 형성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 밖에 중국, 러시아와의 긴밀한 접촉에 힘입어 북한을 제외한 5개 참가국 간 연대가 어느때보다 강력하다고 덧붙였습니다.

러셀 차관보는 이런 분위기 속에 미국과 주변국은 물론 국제사회는 북한이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을 수 없다는 사실을 계속해서 분명히 밝혀왔다고 말했습니다.

중국 고위 전문가가 북한이 핵 탄두 20기를 보유중이라고 밝히는 등 핵 능력을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지만 북한을 핵 보유국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데 국제적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는 겁니다.

그는 또 지난 수년간 미국이 아시아 태평양지역에서 동맹국은 물론 협력국들과 안보 협력을 강화하는 데 두드러진 진전을 이뤘다고 평가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북한의 핵과 탄도 미사일 개발 억제를 포함한 주요 지역 문제에서 이 국가들이 미국과 보조를 맞춰왔다는 겁니다.

한편 러셀 차관보는 이날 청문회에서 미국의 아시아·태평양 지역 중시 전략인 ‘아시아 재균형’에 따라 미국이 이전보다 더 안전해졌다고 평가했습니다.

데니얼 러셀 : 이 전략의 결과는 명확한 데요, 우린 이전보다 더 안전해졌습니다. 미국과 한국, 일본, 필리핀, 오스트레일리아 등 지역 국가와 동맹관계가 어느때보다 강화됐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