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의 성 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27일 중국의 우다웨이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북핵 문제 관련한 중국의 역할을 심도있게 논의하길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성 김 특별대표는 이날 한국 외교부의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 일본 외무성 이하라 준이치 아시아대양주 국장과 한국의 수도 서울에서 북핵과 북한 문제에 대한 공조 방안을 협의한 후 가진 기자 회견에서 이 같이 밝혔습니다.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우다웨이 특별대표와 만날 예정인 성 김 특별대표는 중국은 6자회담 개최국으로서 북한이 비핵화를 위해 노력하도록 중재할 특별한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성 김 특별대표는 또 이날 서울에서 가진 한미일 북핵 6자회담수석대표 회담에서 북한의 추가 도발 억제와 비핵화 진전을 위해 압박과 제재를 더욱 강화하기로 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 수단에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는 그러면서 이날 회담은 매우 생산적이었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거부하고 있는 상황에 대한 평가에 공감했다고 전했습니다. 따라서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북한 이외 6자회담 당사국들은 이 문제에 일치된 입장을 유지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모든 외교적 가능성을 협상 테이블에 올려 놓는 한편, 압박과 제재의 중요성에도 공감했다는 것입니다. 그는 또 북한의 심각한 인권 탄압을 개선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공동 노력의 중요성에도 의견의 일치를 봤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또 최근 북한의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과 관련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위원회에 우려를 표명했다고 밝히고, 북한이 탄도미사일 관련 모든 시험을 중단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