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 국무부는 북한의 리수용 외무상이 미국에 평화협정 체결을 요구한 데 대해 북한의 비핵화를 최우선시 한다는 미국의 정책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일축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미국 국무부의 애나 리치-앨런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미국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북한을 판단한다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비핵화를 최우선시하는 미국의 정책에는 아무런 변화도 없다고 강조했습니다.
(Our policy has not changed, and we will judge North Korea by its actions, not its words. Denuclearization remains our top priority.)
리치-앨런 대변인은 이어 한반도의 평화적 비핵화라는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을 제외한 6자회담 5개 참여국들과 긴밀한 협의를 지속할 방침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1일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 나선 북한의 리수용 외무상은 불안한 한반도의 정전협정을 대신할 평화협정을 미국과 체결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리수용 외무상: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시급히 교체하는 것이 조선반도에서 국제평화와 안전을 담보하고 우리(북한)와 유엔 사이의 비정상적인 관계를 바로 잡는 길이라고 확신합니다.
만일 미국이 평화협정 체결에 동의한다면 미국 측과 건설적인 대화를 할 용의가 있고 한반도의 불안한 안보 환경은 극적으로 개선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리수용 외무상은 북한이 핵과 미사일 개발을 포기하겠다는 언급은 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북한의 위성 발사는 주권국가의 자주적 권리며 핵실험은 미국의 핵 위협에 대처한 자위적 조치라는 주장을 펴면서 위성을 탑재한 장거리 로켓 발사 가능성을 계속 열어놨습니다.
리수용 외무상: 평화적 위성 발사를 문제시하는 부당한 행위에 대해서는 모든 자위적 조치들로 끝까지 강경 대응하여 존엄을 수호하는 것이 공화국 정부의 확고부동한 결심이고 입장입니다.
앞서 미국 국무부의 대니얼 러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지난달 22일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취할 경우 6자회담 9.19 공동성명에서 합의한 대로 북한이 원하는 평화체제 수립과 외교관계 정상화도 가능하다는 점을 상기시킨 바 있습니다.
러셀 차관보: (6자회담 관련국들은) 북한이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조치를 취하는 등 의무와 약속을 이행할 경우 정전협정을 대체하는 평화체제와 관계 정상화, 경제적 지원 등을 제공하기로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미국 측 입장은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에 방점이 찍혀 있어 핵과 미사일을 포기할 의사가 없는 북한 측 입장과는 여전히 간극이 너무 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