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 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중국이 북한에 대해 더 큰 압박을 가해야 한다고 미국 의회의 중진의원이 밝혔습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 등 커지고 있는 북한의 위협에 대한 미국 의회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조 윌슨(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하원의원은 2일 워싱턴의 민간연구소인 미국기업연구소(AEI)가 주최한 국방관련 토론회에 나와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을 미국의 주요 안보위협 요소로 꼽았습니다.
조 윌슨: 북한은 이미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 진전을 선언했습니다. 미국 영토인 괌과 하와이가 사거리 범위에 있습니다.
윌슨 의원은 북한의 위협을 막기 위한 방안으로 중국의 역할 확대가 바람직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조 윌슨 : 저의 희망은 중국이 북한에 대해 더 많은 압력을 가하는 겁니다.
그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겨냥해 북한 핵문제가 ‘평양의 무책임한 정권’에 의해 야기된 위협이라는 초당적 공감대가 미국 의회 안에 형성돼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 핵문제의 심각성과 우려를 의회 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해 나가는 데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다짐했습니다.
윌슨 의원은 앞서 지난달 초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개발을 규탄하는 하원 결의안(H.RES.92)을 대표 발의했습니다.
결의안은 미국의 추가 대북 경제제재와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신속한 한반도 배치를 촉구했습니다.
한편 존 매케인(공화∙애리조나) 상원 군사위원장도 전날 CNN 방송에 나와 중국이 북한의 핵미사일 개발 활동을 멈추도록 영향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매케인 위원장은 중국이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유일한 나라라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그는 특히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발사 증거가 있을 경우 예방타격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을 통한 외교적 해결이 바람직하지만 필요하다면 군사적 해결까지 염두에 둬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대북정책 전면 재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에 대응한 미국 의회 내 분위기가 점차 강경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