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북한이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하기로 한 결정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다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미국과 중국, 일본 등 6자회담 참가국들도 일제히 유감과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국제원자력기구의 길 튜더(Gill Tudor) 대변인은 2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5메가와트 원자로를 비롯한 영변 핵시설을 재가동 하겠다는 북한의 발표는 또 하나의 매우 유감스런 상황 전개라면서 이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This is another deeply regrettable development, which is in clear violation of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s.)
그러면서 국제원자력기구의 아마노 유키야 사무총장은 북한이 국제원자력기구 이사회와 유엔 안보리 결의와 관련된 의무를 즉각 이행할 것을 거듭 촉구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튜더 대변인은 이어 관련국들의 정치적 합의가 이뤄지는 즉시 국제원자력기구는 북한 내에서 핵 검증 활동을 재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IAEA remains ready to contribute to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DPRK nuclear issue by resuming its nuclear verification activities in the country, as soon as the political agreement is reached among countries concerned.)
미국 국무부의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도 이날 정례기자설명회에서 북한의 핵시설 재가동 발표는 6자회담 합의와 국제의무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북한이 흑연감속로 등 영변의 핵시설을 재가동하는 데 앞으로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면서 북한의 말과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가능성을 거론했습니다.
빅토리아 눌런드 대변인: 무엇인가 하겠다고 의사를 밝히는 것과 이에 수반되는 것을 실제 이행하는 것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 물론 북한이 실제 핵시설을 재가동한다면 매우 우려스럽겠지만(extremely alarming) 그렇게 되기까지는 아직 갈 길이 요원합니다.
미국 백악관의 제이 카니 대변인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영변 핵시설 재가동 결정은 또 다른 국제의무 위반이라고 지적했습니다.
카니 대변인은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는 중국과 러시아도 찬성해 만장일치로 통과된 것이라면서 중국과 러시아가 더 적극적인 대북 압박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이 다른 길을 택하지 않는 한 미국은 동맹국, 또 동반자 국가와 함께 북한을 더 압박하고 고립시키는 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한국과 일본, 중국 정부도 북한의 영변 원자로 재가동 결정에 유감과 우려를 표시했습니다.
중국 외교부의 훙레이 대변인은 2일 북한의 발표에 유감을 표시한다면서 한반도의 비핵화 실현과 동북아시아의 평화, 안정 수호가 중국의 일관된 주장이라고 말했습니다.
일본의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북한의 흑연감속로 재가동은 6자회담 합의와 유엔 안보리 결의에 어긋나는 도발적인 행동이라며 “매우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북한은 1980년대 중반부터 영변의 5메가와트 흑연감속로를 가동해 핵무기 개발에 필요한 플루토늄을 추출해 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후 북한은 2007년 6자회담 ‘2.13합의’와 ‘10.3합의’에 따라 흑연감속로의 가동을 중단했고 2008년 6월에는 흑연감속로의 냉각탑을 폭파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