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6차 핵실험이 임박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북한이 최고인민회의에서 핵 관련 입장을 내놓을지 주목됩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이 11일 최고인민회의를 개최합니다. 입법과 국가직 인사, 국가 예산 심의·승인 등의 권한을 가진 최고인민회의는 통상 대외적인 일보다는 대내적인 일을 더 많이 다룹니다.
이덕행 통일부 대변인: 국무위원회와 최고인민회의가 역할이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대외적인 발표를 할 가능성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이 최근 6차 핵실험을 준비해온 만큼 이와 관련해 내부적으로 어떤 정책이 나올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북한은 지난 2012년 4월 열린 최고인민회의에서는 헌법 서문에 ‘핵 보유국’임을 명시한 적이 있습니다.
대북 전문가들은 북한이 체제 결속을 위해 이번에도 핵 미사일 개발의 정당성과 성과를 강조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유석 북한연구소 연구위원 : 핵 무력을 강화 발전시키는 것이 선대 수령의 유훈이기 때문에 지금 북한이 처한 상황에서 필연적인 선택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북한이 이미 핵보유국 선언을 한 이상 대내적인 일을 처리하는 최고인민회의에서 또다시 핵 관련 언급을 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이번 최고인민회에서는 김원홍 전 국가보위상의 복귀 여부도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 김원홍의 복귀를 전망하는 전문가들은 별로 없습니다.
만약 김원홍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누가 그 뒤를 이을 것인지도 관심사입니다. 일부에서는 조용원 당 조직지도부 부부장과 조남진 군 총정치국 조직부국장 등이 후임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 6월 최고인민회의에서 김정은이 신설 직위인 국무위원장에 오르면서 권력구조를 개편한 바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