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실험 유예 조건, 논평할 가치 없어”

0:00 / 0:00

앵커: 북측의 핵실험 유예 조건과 관련해 한국 정부는 "논평할 만한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북한의 핵실험장에서는 현재 "특별한" 움직임이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한국 정부 당국자는 말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 정부는 22일 핵·미사일 실험 중단과 한미 군사훈련 중단을 연계할 수 있다는 북측 주장을 일축했습니다.

문상균 국방부 대변인은 “북한이 언급한 내용은 논평할 만한 일고의 가치도 없다”고 말했습니다. 외교부도 원칙적 답변을 내놨습니다.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 북한 핵실험은 관련 유엔 안보리 결의 등 국제규범을 위반하는 불법 행위로써 북한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목적의 합법적인 자위적 군사훈련과 연계할 사항은 아닙니다.

계춘영 인도 주재 북한 대사는 21일 보도된 현지 언론과 인터뷰를 통해 “미국 측이 잠정적이든 항구적이든 대규모 군사훈련을 완전하게 중단한다면 (북측도 핵과 미사일 실험을) 잠정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한편, 남측 통일부 당국자는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에서 최근 새로운 활동이 포착됐다는 미국 언론의 보도와 관련해 “추가적인 핵실험과 직접적인 연관은 안 돼 있는 것 같다”고 기자들에게 말했습니다.

"특별한 것은 아닌 것 같다”, “관심을 가질 사항은 아닌 것 같다”고도 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이 당국자는 "북한이 추가적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준비는 어느 정도 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한국의 외교안보 관련 당국자들은 북측 풍계리에서 이상 징후가 포착될 때마다 “북한은 김정은의 결단이 있으면 언제든 핵실험을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합니다.

앞서 미국 CNN방송은 지난 20일 미 정찰위성이 북한 핵실험장에서 새로운 활동을 탐지했다고 보도했고, 미 폭스뉴스는 21일 미 국방부 당국자의 말을 인용해 북한의 핵실험장에서 사람과 차량의 증가가 포착됐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