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북한의 풍계리 지하갱도에서 붕괴 사고가 일어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는 한 일본 언론의 보도에 대해 한국 정부가 확인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한국 정부는 또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방사능 피폭 여부에 대한 검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목용재 기자가 보도합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은 1일 “북한 핵 실험장 지하 갱도가 붕괴되면서 200여 명이 숨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언론 보도에 대해 “확인된 바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앞서 일본의 ‘TV아사히’는 “지난달 10일쯤 풍계리 핵 실험장의 지하 갱도를 만들던 100여 명이 갱도 붕괴로 공사장에 갇혔다”며 “이들을 구출하기 위해 작업을 벌이던 도중 추가 붕괴 사고가 일어나 총 200여 명이 사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1일 보도했습니다.
북한의 6차 핵 실험 이후 한국 정부와 국제사회는 풍계리 실험장의 붕괴 가능성과 이로 인한 방사능 유출 가능성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지반이 붕괴되면 한반도를 포함한 인근 지역까지 방사능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 기상청은 지난달 30일 진행된 국회 국정감사에서 북한 핵 실험장의 붕괴로 인한 피해 가능성에 대해 우려를 표한 바 있습니다.
남재철 기상청장 (지난달 30일): 풍계리 만탑산 밑에 60~100미터 공동(빈 공간)이 있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그럴(핵 실험장 붕괴)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남 청장은 특히 풍계리에서 ‘함몰 지진’이 발생할 경우엔 방사능이 뿜어져 나올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기상청은 풍계리 만탑산 정상 부근의 땅이 북한의 6차 핵실험 이후 이미 3미터 가량 내려 앉은 것으로 분석돼 추가 핵 실험은 위험하다고 경고하기도 했습니다. 이 땅은 여의도 면적의 3배에 달합니다.
실제 북한이 6차 핵실험을 감행한 지난 9월 이후 핵 실험장 인근에서 소규모의 지진이 수차례 관측되고 있습니다. 기상청에 따르면 9월 이후 풍계리 인근에서 관측된 지진은 총 4차례입니다. 기상청은 핵실험으로 주변 지반에 축적됐던 힘이 약화되면서 자연 지진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북한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중국 역시 풍계리 핵 실험장의 붕괴로 인한 피해를 우려하고 있습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 홍콩 매체들은 지난달 28일 북한 핵 실험장의 붕괴 가능성을 우려하는 중국 과학계의 지적을 전했습니다. 특히 북한이 추가 핵 실험을 감행하면 해당 지역 전체가 붕괴되고 이로 인해 방사능이 유출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한국 정부는 이와 함께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 탈북자 30명을 대상으로 방사능 피폭 여부에 대한 검사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북한 핵 실험장에서 방사능이 유출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차원입니다.
백태현 통일부 대변인 : 풍계리 출신 탈북민들을 대상으로 지금 현재 검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말에 검사 결과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제가 알고 있기로는 현재 3분의 2정도 (검사가)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탈북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 정부 차원의 방사능 피폭 검사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백 대변인은 이날 열린 기자설명회에서 지난 2006년 1차 핵실험 이후 한국에 입국한 함경북도 길주군 출신의 탈북자 가운데 자원자 30명이 검사 대상이라고 밝혔습니다. 검사에 참여하는 탈북자들은 방사능 노출 여부와 암 검진, 갑상선 기능 검사도 함께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