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와 16일 접견한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북한의 핵 개발은 용납할 수 없으며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박 당선인은 북한과의 "대화의 창"은 계속 열어두고자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은 북핵 문제에 대해 다시 한 번 단호한 입장을 보였습니다. 핵 개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겁니다.
16일 커트 캠벨 미 국무부 동아태차관보와 접견한 박 당선인은 핵 문제와 관련한 대북 정책에는 변화가 없을 것임을 시사하면서도 남북 간 대화가 단절된 상태는 개선할 의지가 있음을 재확인했습니다.
조윤선 당선인 대변인: 북한의 핵 개발은 용납할 수 없으며 단호하게 대응해 나갈 것이지만, 북한 주민의 삶의 질은 깊이 생각해 봐야 할 문제인 만큼 인도적 지원을 포함한 대화의 창은 계속 열어두고자 하며,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이행해 나가겠다고 말씀하셨고, 그 과정에서 미국과 긴밀히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남북관계에 신뢰가 쌓이고 북한의 비핵화가 진전되면 국제사회까지 참여하는 대규모 경제협력을 추진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국제사회는 물론 미국은 한국과 당선인에 대해 깊은 신뢰가 있는 만큼 북한 문제를 비롯해 당면 과제를 해결하는데 새 정부와 긴밀히 협의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캠벨 차관보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차원의 대북제재 논의가 조만간 진전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이날 오전 서울에 있는 외교부를 방문한 캠벨 차관보는 “중국과 러시아를 포함한 주요국가들과 구체적인 협의를 하고 있다”면서 “조만간 진전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자들에게 말했습니다.
북한의 추가 핵실험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캠벨 차관보는 “가정적인 질문에는 답하지 않는다”면서도 “북한의 도발 행위는 단념시켜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분명한 입장”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캠벨 차관보는 대니얼 러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아시아 담당 선임보좌관과 마크 리퍼트 국방부 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과 함께 15일 방한했고, 1박2일 일정을 마무리한 뒤 다음 방문지인 일본으로 떠났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