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 일본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이 북한의 3차 핵 실험에 대비한 감시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도쿄에서 채명석 특파원이 전합니다.
북한이 3차 핵 실험을 단행할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주일 미군이 감시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고 일본의 NHK방송이 1일 보도했습니다.
NHK에 따르면 대기중에 떠도는 방사성 물질을 수집할 수 있는 대기 관측기 WC 135가 지난 달 중순 미국 본토에서 오키나와 가데나 미군 기지로 파견됐습니다.
이 대기 관측기 WC 135는 지난 31일 오전 10시경 가데나 기지를 이륙했다가 2시간 후 다시 기지로 귀환한 다음 이착륙 훈련을 되풀이했다고 NHK가 전했습니다.
NHK는 또 통신 정보 등을 수집하는 전자 정찰기 RC 135도 지난 31일 오전 비행하는 모습이 확인됐으며, 레이더로 지상 부대의 움직임을 탐지하는 특수 항공기도 3일전에 가데나 기지에 도착했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일본의 오노데라 이쓰노리 방위대신은 북한이 3차 핵 실험을 단행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데 대해 “한미일 국방 당국이 31일 도쿄에서 국장급 회담을 열어 정보 교환을 했다”고 밝히면서 “북한이 언제든지 핵실험을 단행할 수 있다는 전제아래 만반의 준비를 갖추고 있다”고 1일 말했습니다,
한국 국방부의 임광빈 정책실장과 미국 국방부의 마크 리퍼트 차관보, 일본 방위성의 니시 마사노리 방위정책 국장은 매년 한차례 열리는 한미일 국방부 국장급 회담을 지난 31일 도쿄에서 열고 공동 성명을 발표했습니다.
이 성명에서 한미일 3국은 “북한의 3차 핵 실험은 국제적인 평화와 안전에 대한 위협일 뿐 아니라, 한반도와 동북 아시아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라고 비난하면서 “북한이 핵 실험을 포함한 추가 도발을 감행할 경우에는 그에 대한 모든 책임을 지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한미일 3국은 또 이날 회담에서 북한의 핵과 미사일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중국과 러시아와도 긴밀히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습니다.
한편 일본정부는 북한이 3차 핵실험을 단행할 경우 일본 단독으로 추가 대북 제재를 발동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일본정부는 북한이 1차 핵실험을 단행한 2006년 북한에 대한 수입을 전면 금지했고, 북한 국적 소유자의 입국 금지와 북한 선박의 입항 금지 조치를 내렸습니다.
북한이 2차 핵실험을 단행한 2009년에는 전 품목에 대한 대북 수출을 금지했습니다.
일본정부는 또 20010년 3월 북한에 의한 천안함 침몰 사건이 일어나자 북한에 대한 송금 신고 한도액을 300만 엔 즉 미화 3만3천 달러로 낮추고, 소지 금액 신고 한도액을 10만 엔 즉 1천100달러로 낮 춘 바 있습니다.
그래서 일본 전문가들은 북한이 3차 핵 실험을 단행하더라도 일본 정부가 효율성 있는 대북 제재 조치를 취하기는 매우 어려울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일본정부는 조총련 간부들에 대한 재입국 금지조치를 북한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선출된 고위급에서 국장급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