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 핵무기 국제적 인정 위해 3차 핵실험”

0:00 / 0:00

MC

: 스웨덴의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최근 발간한 연례 보고서에서 북한이 사용 가능한 핵무기를 보유했다는 공개된 정보는 없다고 밝힌 가운데 북한 당국은 자신이 보유한 핵무기가 실제로 사용 가능하다는 점을 입증하기 위해 3차 핵실험에 나설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자세한 소식을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는 지난 7일 발간한 연례 보고서에서 북한은 소수의 핵탄두를 만들 수 있는 플루토늄을 생산한 것으로 보이지만 북한이 사용 가능한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는 공개된 정보는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와 관련해 이번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이 연구소의 쉐넌 카일(Shannon Kile) 박사는 8일 자유아시아방송(RFA)에 북한이 3차 핵실험에 나선다면 이는 북한이 보유한 핵무기가 사용 가능하다는(operational) 점을 서방 세계에 증명해 보이기 위해서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Kile

: 거듭 말하지만 북한이 사용 가능한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북한 당국은 많은 서방 전문가들의 이런 의심을 불식하기 위해 3차 핵실험에 나설 수 있습니다.

카일 박사는 최근 남북관계가 악화됨에 따라 북한이 핵실험이나 장거리 미사일 시험 발사 등 추가 도발에 나설 가능성이 예상되지만 북한이 실제 3차 핵실험에 나선다면 그 배경은 도발 차원이기보다는 핵무기 설계를 검증하면서 핵탄두 소형화를 꾀하는 등 관련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이 주목적일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카일 박사는 또 이번 보고서에서 북한의 우라늄 농축에 대한 우려도 지적됐다면서 북한이 고농축우라늄(HEU)을 이용한 핵무기 실험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북한의 3차 핵실험 가능성은 지난 5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회의에서도 언급됐는데 당시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의 조나단 폴락 박사는 북한이 고농축우라늄(HEU) 핵폭탄을 이용해 3차 핵실험에 나설 가능성이 크며 미국과 중국은 북한의 이러한 핵개발 시도를 결코 저지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한편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는 이번 보고서에서 전 세계의 실전 배치된 핵무기는 5천 개 이상이며 미국과 러시아, 영국, 프랑스, 중국, 인도, 파키스탄, 그리고 이스라엘 등 8개국이 보유한 핵무기는 모두 2만500 개가 넘는다고 집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