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핵안보정상회의, 북핵 주요 의제로”

0:00 / 0:00

MC:

지난해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1차 회의와는 달리 내년 3월 한국에서 열릴 핵안보정상회의에서는 북한 핵문제가 주요 의제로 논의될 것이라고 미국의 비확산 전문가가 내다봤습니다.

김진국 기자가 보도합니다.

세계 50여 주요 국가의 정상이 참여하는 제2차 핵안보정상회의에서 북한의 핵개발 중단을 촉구하는 공동성명이나 의장성명서가 채택될 가능성이 크다고 미국 워싱턴의 군축비확산연구소 (Center for Arms Control and Non-Proliferation)의 김두연 비확산 담당 부국장이 28일 주장했습니다.

김 부국장은 이날 워싱턴의 한미경제연구소(KEI)가 주최한 토론회에서 서울에서 핵과 관련한 정상회의가 열리는 만큼 북한 핵문제를 주요 의제로 다룰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김 두연

: “(정상회의의) 세 번째 주제는 북한과 관련한 문제입니다.. 핵안보정상회의에서 안보의 중대한 위협인 북한 문제를 논의하지 않는다면 개최국인 한국은 커다란 정치적 손실을 보게 됩니다.”

하지만, 김 부국장은 북핵 문제가 정상들이 모두 참여하는 공식 회의에서 거론되기보다는 비공식 정상 접촉을 통해 논의될 가능성이 크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 회의에서는 비공식적인 협의를 통해 북한의 핵개발과 관련한 국제사회의 우려와 권고를 담은 성명을 채택할 것으로 본다면서 다양한 의견을 함께 담은 ‘서울 커뮤니케’ (Communique)나 의장성명서의 형태로 논의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김 부국장은 내다봤습니다.

김 부국장은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이 전제 조건을 달기는 했지만 북한을 초청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면서 핵안보정상회의에 참여하는 것이 북한에도 이익이 된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두연

: “핵안보정상회의에 참여로 북한은 국제사회 일원으로서의 상징적이고 실용적인 이익을 취할 수 있습니다. 안보와 관련한 불안감을 해소할 기회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주요 의제로 다룰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북한이 직접 영향권에 있습니다.”

핵안보정상회의는 2014년까지 완전한 핵통제를 성취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과 행동계획을 논의하는 국제회의입니다.

2010년 4월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제1차 회의에 참석한 47개국 정상들은 핵무기로 인한 위협이 실존한다고 공감하면서 테러집단이 핵무기를 갖지 못하도록 핵물질의 거래와 통제에 동참할 것을 약속하고 한국을 2차 회의 개최국 겸 의장국으로 확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