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북 핵시설 가동 여부 주시”

0:00 / 0:00

앵커 : 북한이 유엔의 대북 인권결의안에 반발해 핵실험을 할 수 있다고 밝혔는데요. 아직 핵실험 징후는 없지만, 한국 정부는 미국과 공조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서울에서 노재완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한국의 한민구 국방부장관이 북한의 4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준비는 상시적으로 하고 있다고 평가하지만 가까운 시일 안에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은 낮다”고 밝혔습니다.

한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20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나온 겁니다. 북한 외무성이 유엔의 북한 인권 결의안에 반발하며 핵실험 가능성을 언급한 데에 따른 설명입니다.

아직 핵실험 징후는 없지만, 한미 정보 당국은 북한의 핵 시설 등을 계속 면밀히 관찰하고 있습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 : 북한의 재처리시설, '영변 화학실험실'이라고 하죠. 그런 가동 조짐이 있다고 일부 나오는데, 가동이 되면 여러 가지 가스 이런 것들이 포착되는 것으로 알고 있고, 과거에도 그런 보도가 나온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우리 한미 정부 당국은 북한의 핵 시설 가동이나 운영에 대해서 계속 주시하고 있습니다.

남한의 외교부도 20일 대변인 논평을 통해 “북한이 국제사회를 상대로 핵위협 등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는 조치를 취할 경우 유엔 안보리 결의를 정면으로 위반하는 것으로 국제사회의 단호한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습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 : 북한이 추가 핵실험 등 도발을 하지 않도록 정부는 6자회담 당사국 등 국제사회와 긴밀히 공조하면서 모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해 나갈 것이다.

노광일 대변인은 이날 논평 후 가진 회견에서 북한의 핵실험 준비 징후 여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핵실험과 관련한 임박한 징후가 없더라도 북한은 정치적 결정에 따라 필요하다면 언제든 핵실험을 감행할 준비가 돼 있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북한은 유엔총회의 북한 인권결의안 채택을 비난하면서 “미국의 대조선 적대행위가 우리로 하여금 새로운 핵실험을 더는 자제할 수 없게 만들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