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안보정상회의, 북 압박용 아니다”

0:00 / 0:00

MC: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한 달 뒤 서울에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가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행사가 아니라고 설명했습니다. 또한 북핵 문제가 공식 의제로 상정되는 것도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서울에서 박성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23일 핵안보정상회의가 특정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행사가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 이번 정상회의는 핵 테러 방지와 핵물질의 안전관리 등 핵안보 과제를 다루는 게 목적이며, 북한을 겨냥하지 않는다는 겁니다. 핵안보정상회의 기획단 한충희 대변인입니다.

한충희: 어떤 국가를 겨냥한다거나, 국가를 압박하는 의도가 전혀 없는 회의의 성격이라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한 대변인은 또 북핵 문제가 공식 의제로 상정되는 것도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다만, 이번 정상회의를 계기로 다양한 양자 회담이 열리게 되는데, 이 때 북핵 문제가 주제로 등장할 수 있다고 한충희 대변인은 설명했습니다.

외교통상부의 이 같은 설명은 북한이 최근 핵안보정상회의를 강하게 비난한 가운데 나왔습니다. 북측은 22일 한국을 “미국의 핵전초기지”라고 표현하면서 “남조선에서 핵안전 문제를 논의한다는 것 자체가 경악할 일”이라고 주장한 바 있습니다.

다음 달 26일부터 이틀간 서울에서 열리는 이번 정상회의는 53개국과 유엔, 유럽연합(EU) 등 4개 국제기구가 참여합니다. 한충희 대변인은 “이번에 모두 58명의 정상과 국제기구 수장이 참석하는 것으로 최종 확정됐다”고 밝혔습니다.

핵안보정상회의는 2010년 4월 미국의 워싱턴에서 처음 열렸습니다. 한국은 서울에서 열리는 제2차 회의에서 의장국으로서 주요 의제에 대한 각국의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문인 ‘서울 선언문’의 문안을 협상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된다고 한국의 외교통상부는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