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 북 참가시켜야”

0:00 / 0:00

MC:

내년 한국에서 열리는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 북한을 참여시켜야 한다고 미국의 전직 고위 관리가 주장했습니다. 북한의 핵안보정상회의 참가 유도는 북한 핵시설의 안전성에 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와 주목됩니다.

박정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북한을 2012 핵안보정상회의에 참여시켜야 한다고 케네스 롱고 세계안보협력재단 이사장이 주장했습니다.

롱고 이사장은 최근 발간된 미국의 군축 전문지인 ‘오늘의 군축’ 최신호에서 북한의 핵안보정상회의 참여가 핵 물질의 확산 방지와 안전성 확보라는 정상회의 목적에 부합한다며 이같이 말했습니다.

미국 에너지부에서 비확산 담당 특별고문과 북한 담당 국장을 역임한 롱고 이사장의 이같은 주장은 일본의 원자력 사고를 계기로 북한 핵시설의 안전성에 대한 우려가 잇따라 제기되고 있는 데 나와 주목됩니다.

앞서 한국의 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17일 미국의 힐러리 클린턴 국무장관을 만난 자리에서 내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서 원자력 안전 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의했습니다.

또 이틀 뒤인 19일 민동석 외교통상부 제2차관은 우크라이나에서 열린 원자력 안전 정상회의에서 북한의 핵시설이 국제 관행과 기준을 준수하지 않고 건설돼 자연재해 등에 취약하다며 안전성 문제가 거듭 제기한 바 있습니다.

특히 롱고 이사장은 지난 3월말 독일에서 열린 북한의 외무성 관료들과 미국의 핵 관련 전직 행정부 관료들 간 정책 토론회에 참석한 바 있어 당시 토론회에서도 북한의 2012 핵안보정상회의 참가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겠느냐는 지적입니다.

롱고 이사장을 포함해 올리 하이노넨 전 국제원자력기구 사무차장 등 군축, 비확산 전문가들이 참석한 당시 토론회에는 북한 외무성 최선희 미국국장 등 외무성 관료들이 참석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롱고 이사장은 기고문에서 북한의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참여가 핵 시설의 안전성은 물론 핵 물질의 확산 가능성을 둘러싼 국제사회의 우려를 해소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또 북한의 서울 핵안보 정상회의 참여가 현재 진전을 이루지 못하고 있는, 한반도의 비핵화 노력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