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한국 통일정책 지지 큰 의미”

0:00 / 0:00

앵커: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한국의 통일정책에 대한 지지 의사를 공개 천명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양성원 기자가 전해드립니다.

지난 19일 미국 워싱턴 DC 카네기국제평화재단에서 지난주 한미 정상회담을 평가하는 토론회가 열렸습니다.

이 자리에 참석한 한국의 양창석 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감사는 오바마 대통령이 이번 한미정상 회담을 통해 한국 박근혜 대통령의 통일정책을 공개적으로 지지한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양창석 감사: 박근혜 대통령은 통일정책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강력한 지지를 이끌어냈습니다.

한국 일각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남북관계 진전보다 통일을 우선시하고 흡수통일을 추구한다는 오해가 있었지만 이번 회담을 통해 박 대통령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음을 보여줬다는 게 양 감사의 설명입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미국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새롭고 중요한 합의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지만 한미동맹 강화라는 측면에서 성공적인 회담이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한국이 중국 쪽으로 기운다는 이른바 ‘중국 경사론’을 불식시키는 데 이번 회담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는 사드, 즉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의 한반도 배치에 대한 새로운 합의가 없었고 북한 인권문제에 대한 구체적 대응이나 제재 방안이 나오지 않은 점은 아쉬운 대목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한국이 남중국해 등에서 패권을 추구하는 중국에 대해 미국과 보조를 맞춰 비판의 목소리를 낼 필요가 있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은 한미 정상회담 후 기자회견에서 “중국이 국제규범과 기준을 지키는 데 실패할 경우 한국이 우리와 마찬가지로 목소리를 내달라”고 주문한 바 있습니다.